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주자,왕양명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4월 30일 18시 19분
조회수
24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격물치지는 이발시 공부입니다. 2. 심체는 정(定)으로서, 마음이 이러한 심체의 본연의 상태를 보존하면 움직였다 해도 정이라 할 수 있지만, 사욕을 제거하지 못하면 마음이 구체적인 일에 따라 움직이고 있지 않다 할지라도 정이라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왕양명은 주자학의 마음의 동정 여부에 따른 미발과 이발의 구분을 거부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움직일 때의 공부와 움직이지 않을 때의 공부가 본질에 있어서 동일한 공부라는 관점, 즉 사욕의 제거하여 심체의 본연을 보존하는 공부라는 관점에서 미발함양, 이발성찰이라는 주자학의 공부 체계를 거부합니다. 3. 왕양명은 기를 세계의 일원적 근원으로, 리를 그러한 기의 조리로 보는 기일원론 혹은 이기일체론의 주장합니다. 이러한 존재론적 관점에서 보면, 심즉리는 곧 심즉기가 됩니다. 그리고 심즉성이므로 성즉기가 되지요. 주석의 인용문은 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4. 3의 답변으로 대신합니다. 5. 리는 리의 조리로서, 기에 속하여 그것과 분리될 수 없는 것입니다. ▒▒▒▒▒▒ [김유진  회원님의 글] ▒▒▒▒▒▒ 1. 주자의 격물치지는 다 이발공부인가요? 2. 학습포인트 문제 : 성리학의 미발이발 공부의 문제점을 심체의 성격에 대한 왕양명의 입장에 근거에 서술하시오. 이 문제의 답이 심체에 모든 리가 다 갖추어져있기 때문에 미발이발 공부로 나누어 사물의 리를 탐구할 필요가 없다인가요? 아니면 심체 = 리 = 정이기에, 미발이발로 나우어 구분할 수 없다 인가요? 3. 왕양명의 기일론자라고 말하며 (주석에) 자성에 대해 알면 성이 곧 기임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4. 결과적으로 왕양에게 심체 = 리 = 양지/ 심체= 성 = 기 이기에 심체 = 리 = 양지 = 성 = 기인건가요? 5. 4번이 맞다면 어떻게 리와 기가 똑같은 것일 수 있는건인가요? 이 부분에 대한 왕양명 사상이 정확하지 않은것가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