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5월 14일 21시 22분
- 조회수
- 16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무용지용은 사회 속에서 도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생을 보존하는 방법의 본질입니다.
2. 장자가 덕치를 비판할 때, 그것은 유가의 덕치를 말하는 것입니다. 장자의 관점에서 유가의 덕은 참된 덕이 아니라 인위적인 불과한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을 통해 모든 사람을 통치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인위로서 생을 파괴하는 결과만을 가져올 뿐이므로, 유가의 덕치는 올바른 통치의 원리가 아니라는 것이 장자의 생각입니다.
3. 두 개념은 거의 동일한 의미를 지닌 개념입니다. 굳이 한 가지 차이를 언급하자면, 이명은 도의 관점에서 천지만물을 볼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라면, 인시는 우리가 세계에서 만나는 개별 존재자들을 대할 때 올바른 태도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4. 소요유의 경지가 일체의 차별, 대립에서 벗어난 조화의 경지입니다.
▒▒▒▒▒▒ [김유진 회원님의 글] ▒▒▒▒▒▒
1. 장자에게 개인이 사회 속에서 자신의 생을 보존하는 것의 본질은 무용지용인가요?
2. 장자가 덕치를 비판하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예치와 동일하게 자유로운 본성의 발현 억제는 아닌 것 같아서요!
3. 이명과 인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4. 도추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경지가 조화의 경지인지 아니면 소요유인지 궁금합니다.(학습포인트 문제)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