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이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5월 14일 22시 10분
조회수
18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사단은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이다.”라는 이이의 주장은 사단의 선함은 도심의 선함과 인심의 선함과 동일하므로(도심이 선함과 인심의 선함에도 차이가 없습니다.),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을 일러 사단이라 한다는 주장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2. 수양의 방법으로서의 경에 대한 두 학자의 관점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둘 모두 주희가 제시한 경 공부 혹은 거경의 성격, 방법, 수양론적 의의를 두 학자 거의 완전하게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이는 ‘성’ 개념을 다양한 차원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요약해 보자면 우선 성은 천지만물의 이치인 천리이자 마음의 본체인 성(性)입니다. 이이가 “경을 통해 성을 회복한다.”라고 할 때, 성은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개념입니다. 성은 천리이자 성이므로, 또한 그것은 모든 인간의 마음에 내재하는 도덕적 삶의 원칙입니다. 그리고 성은 성인이 되고자 하는 수양의 근본이 되는 마음가짐을 나타내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 [배태현 회원님의 글] ▒▒▒▒▒▒ 1. 이이의 사단이 도심만을 말한것인지 도심과 인심의선한부분을 합쳐서 말한것인지 궁금합니다. 칠정은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합쳐서 말한것이 맞는거같은데 사단은 잘모르겠네요 2. 이황과 이이의 경의 차이점과 이이의 경, 성 개념을 잘 모르겠습니다. 이황은 미발,이발시 둘다 존양, 성찰의 경을 해야하고 이이는 미발시에 경 이발시에는 성인가요 ? 이이의 경과 성의 관계가 있나요? 경을 통해서 성을 회복하는것인가요.. ? 이이의 경과 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