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5월 21일 18시 16분
- 조회수
- 17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공자 학습포인트 4번은 인의 실천 방법은 충서의 성격을 묻는 물음입니다.
2. 82쪽의 내용은 사회계약을 통한 공통 권력 및 정부 수립 과정을 간략히 압축적으로 서술한 것이고, 83쪽의내용은 정부 및 정부 권력의 형성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한 것입니다. 재언하면 공통 권력은 자연인이 자연적 권한을 공동체 수중에 양도함으로써 형성되고, 그러한 공통 권력을 위임함으로써, 즉 신탁함으로써 공통 권력을 시민의 의지에 따라 운영할 정부 및 정부 권력이 수립됩니다.
3. 사단은 철정 중 선한 정을 지칭하는 개념이고, 도심은 지각 사량 능력을 지닌 마음 중에서 도덕심을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마음은 성정을 통섭하는 것이고, 정은 마음에 통섭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단은 도심만을 말한 것이요, 칠정은 인심과 도심을 합하여 말한 것이다.”라는 이이의 주장을 ‘사단 = 도심, 칠정 = 인심+도심’으로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로 이이는 사단 = 도심, 칠정 = 인심이라는 이황의 주장을 매우 강하게 비판합니다.) 그와 같은 이이의 주장의 참된 의미는 다른 곳에서 이이가 행한 주장, 즉 “칠정은 인심 도심의 선악을 합하여 말한 것이요, 사단은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이다.”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 주장에 의하면, 인심에 포함된 선한 정과 악한 정 + 도심의 선한 정(이이에게 있어서 도심의 선한 정과 인심의 선한 정의 동일한 도덕적 성격을 지닌 정입니다.)을 일컬어 칠정이라 하고, 순수한 도덕심인 도심에 포함되어 있는 선한 정 및 인심의 선한 정을 일러 사단이라 합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1. 공자 학습포인트 중 4번의 답안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공자에게 있어서 '인의 실천 방법의 본질'이 무엇인가요?
동/서/정 모든 학자 학습포인트 답안을 작성했는데
이 문제만큼은 답을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ㅠ_ㅠ
2. 정치 교재 82~83p 질문드립니다
82p에서는 '양도 행위를 통해~ 입법권과 집행권이 확립되고, ~ 입법부와 집행부가 수립된다' 고 나와있는데
83p에서는 '위임하여~정부와 정부 권력을 수립한다.', '요컨대 정부 및 정부 권력 수립의 기원은 신탁이다.'
라고 나와있더라구요.
저번에 질문시 정부 권력은 어느 단계에서 생성되는지 여쭤봤었는데, 양도 단계에서 생성된다고 해주셨었는데
교재를 다시 보니 상충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3. 동서양 교재 495p 제일 아래 원문 질문드립니다.
이 원문에서는 '~도심이니, 칠정 가운데 선한 일변이요, ~인심이니, 칠정 가운데의 선악을 합한 것입니다.' 라고 나와있는데요.
저번에 제가 '칠정은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합하여 말한 것이고, 사단은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이다' 라는 문장이
그 역도 성립하는지 여쭤봤었을때 감정으로 마음은 설명할 수 없다고 답변해주셨었습니다
그런데 이 원문을 보니 상충하는 것처럼 보여서 질문드립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