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유나
- 등록일
- 2019년 05월 27일 08시 36분
- 조회수
- 56
- 첨부파일
-
1. 콜버그-캔디 모형 질문드립니다.
의무판단이 '무엇이 도덕적으로 이상적인 것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 이라고 나와있는데,
뜻만 보기에는 오히려 도닥판단 같은데 의무판단이더라구요.. 그렇다면 도덕판단은 무엇인가요?
48p에 나와있는 '도덕판단'에 대한 설명을 읽어봐도 의무판단이랑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2. 블라지의 책임판단은 '자신이 내린 도덕판단에 입각하여 행동해야 하는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도덕판단이 도덕적 행위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고,
콜버그의 책임판단은 '의무 판단의 결과에 따라 행동할 책임의 수용여부에 대한 지각'인데
그렇다면 블라지 책임판단은 도덕판단과 관련된 것이고
콜버그 책임판단은 의무판단과 관련된 것이 맞나요?
3. 블라지 보충자료 (교재수정) 21p 각주2번에
'정체성이란 인간의 본질적 자아' 라고 나와있고
22p 도덕적 자아모델의 의의에서 첫번째 문단 아래에서 3번째 줄에는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 라고 나와있는데
첫 번째 문장만 읽었을 때는 어떤 정체성을 구성하느냐가 그 사람의 본질적 자아가 된다는 뜻으로 읽혔는데요
두 번째 문장을 읽으니 헷갈립니다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라는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_ㅠ
도덕적 정체성 안에 도덕적 자아가 있다는 말인가요?
4. 22p에 책임이란 '정체성과 도덕성의 통합의 결과물'이라고 나와있는데요.
그렇다면 도덕성과 '자아'가 통합되면 도덕적 정체성이 되는거고,
도덕성과 '정체성'이 통합되면 책임이 나오는건가요?
도덕성과 자아의 통합을 거쳐 도덕적 정체성을 먼저 구성해야 된다고 생각했는데
바로 도덕성과 정체성이 직접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나요?
블라지가 용어가 헷갈려서 제일 어려운 것 같습니다 ㅠ_ㅠ
가지고 있는 기본서 3권에는 블라지에 대해 간략하게만 실려있거나 아예 없어서 더더욱 이해하기가 힘든 것 같아요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