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5월 28일 19시 46분
조회수
20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계, 정, 혜에 대한 혜능의 정의를 묻는 문제입니다. 정의는 제 교재에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유식파는 주로 생멸의 현상 세계를 대상으로 그것의 근원을 탐구하였습니다. 그래서 원효는 유식파의 이론은 마음의 두 측면 중에서 생멸의 현상 세계가 펼쳐지는 심생멸문과 관련된다고 본 것입니다. 3. 아뢰야식을 오해하여 ‘나’를 실체로 긍정하는 의식(말라식)이 생겨나고, 육식의 작용을 통해 외부 대상이 가설됩니다. 이처럼 ‘나’와 ‘외부 대상’의 구분은 단지 식이 변하여 생겨난 허망분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모르고 나와 외부 대상에 집착함으로써 아집과 법집이 생겨나고, 아집과 법칙을 근본으로 하여 여러 번뇌를 발생합니다. 이것이 아뢰야식연기설에서 말하는 번뇌의 발생 과정입니다. 4. 공자에게 있어서 인은 모든 덕을 포괄하는 최고의 덕입니다. ▒▒▒▒▒▒ [김유진 회원님의 글] ▒▒▒▒▒▒ 1. 불교삼학(佛敎三學)의 의미를 (선종)혜능의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학습포인트 문제> 이 문제에서 작성해야 하는 답안은 혜능은 돈오를 주장하며, 계정혜의 일반적 의미(단계적)을 부정하며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주장하였다 + 삼학의 일반적 정의를 작성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헤능만의 특별한 삼학의 정의가 따로 있는 것인가요? 2. 원효에서 심생멸문을 유식학파와 연결짓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요? 둘 사이의 공통점이요! 3. 인간이 겪는 번뇌의 발생 과정을 아뢰야식연기설에 입각하여 설명하시오. <학습포인트 문제> 근본시작 : 8식 - 7식 - 9식(아마라식)까지는 알겠는데 그 과정에서 전 5식과 6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모르겠어요 아뢰야식연기설에서 말하는 번뇌의 발생과정 전체 설명 부탁드릴게요! 4. 공자에게 덕과 인의 관계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