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수행평가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7월 01일 16시 22분
- 조회수
- 7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2)가 맞습니다.
전통적 평가 방식이란 예를 들어 수능 시험과 같은 평가 방식을 말합니다. 그런데 우리 도덕과가 평가 대상으로 강조하는 통합적 도덕성 혹은 통합적 인격을 그와 같은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전통적 평가 방식을 취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통합적 도덕성의 함양을 추구하는 도덕과 교육은 아무런 가치도 없는 교육이 되고 맙니다. 이와 달리 수행평가는 전인적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평가는 ‘학습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평가될 가치가 있다.'라는 이상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방식입니다. 우리 도덕과가 도덕과 평가 방식으로 수행평가를 채택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교재 356p '다섯째' 부분 질문드립니다
수행평가는 '학습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평가될 가치가 있다'라는 입장, 즉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으며 그래서 교사가 가르쳤다면 반드시 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함으로써 '평가되지 않을 것이라면 가르칠 가치가 없다'라는 입장을 견지하는 전통적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어떻게 끊어 읽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_ㅠ
(1) 수행평가는 / '학습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평가될 가치가 있다'라는 입장, 즉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으며 그래서 교사가 가르쳤다면 반드시 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함으로써 '평가되지 않을 것이라면 가르칠 가치가 없다'라는 입장을 견지하는 전통적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렇게 묶어서 전통적 평가 방식에 대한 설명인지
(2) 수행평가는 '학습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평가될 가치가 있다'라는 입장, 즉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으며 그래서 교사가 가르쳤다면 반드시 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함으로써 / '평가되지 않을 것이라면 가르칠 가치가 없다'라는 입장을 견지하는 전통적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수행평가가 이러한 관점을 취하는 것인지
어떻게 끊어 읽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_ㅠ
사실 이 문장 전체 자체가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