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의 입장에서 행복에 도달하는 방법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7월 01일 16시 32분
- 조회수
- 16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덕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습관이 되도록 실천해야 한다. 행복은 우연이 아닌 노력과 덕의 습관화로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는 답이 될 수 없습니다.
니코나코스 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성품의 탁월성(도덕적 덕)의 성취를 통해 우리가 도달하게 되는 행복은 이차적 의미에서의 행복이지 완전한 의미에서의 행복은 2차적 행복이지 완전한 의미의 행복은 아니라고 봅니다. 완전한 의미의 행복은 철학적 지혜에 따르는 관조적 활동이고, 이는 교육이나 훈련과 같은 후천적 노력을 통해 이성을 완전하게 하여 최고의 지적의 탁월성인 철학적 지혜를 획득함으로써 성취되는 것입니다.
▒▒▒▒▒▒ [하주현 회원님의 글] ▒▒▒▒▒▒
교수님 바쁘실텐데 질문까지 신경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2012학년도 기출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성취 관점에 대한 문제가 있는데
이때 답이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덕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습관이 되도록 실천해야 한다. 행복은 우연이 아닌 노력과 덕의 습관화로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는데
행복(최고선)은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 즉 지적인 덕에 따른 활동이기 때문에 습관(도덕적 덕을 기르는 방법)이 아닌 교육을 통해 이뤄져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 헷갈립니다.
이때의 행복은 2차적 행복이기 때문에 그런 것인지, 문제에서 1차적 행복과 2차적 행복 중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파악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