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7월 16일 20시 13분
- 조회수
- 16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플라톤의 용어 사용법에 따라 엄밀하게 말하면, 이데아는 현상 세계의 개별자들에 ‘관여’하는 것이고, 현상 세계의 개별자들은 이데아에 ‘참여’하는 것, 이데아를 ‘분유’하는 것, 이데아를 ‘모방’하는 것입니다.
2. 소크라테스 관련 문제 1번은 메논편의 논리를 서술할 것을 요구하는 문제이고, 2번은 덕의 일반적 의미에 근거하여 지덕일치의 논리를 서술할 것을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문제의 요구 사항에 따라 논리를 달리 서술할 필요가 있습니다.
▒▒▒▒▒▒ [오현정 회원님의 글] ▒▒▒▒▒▒
1. 강의에서 이데아세계가 현상세계에 참여, 관여, 분유한다고 말씀하셨는데
1-2월 이론서에서는 현상세계의 개별 사물(말)이 이데아 세계의(말의 이데아)에 관여, 분유, 참여, 모방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관여하는 부분은 이데아인가요, 현상세계인가요
2. 소크라테스의 메논의 지덕일치 논리에서,
덕은 좋고 유익한 것이고, 유익한 것은 지식에 의해 바르게 사용되어서 유익한 것이다.
=> 정신적인 것과 관계되는 것들 중 유익하고 좋은 것은 지식이므로 덕은 지식이다.
라는 식으로 1-2월 공부시에 해석해왔습니다. 그런데 7-8월 문제풀이에서는
=> 모든 덕은 지식에 포함된다. 모든 덕은 지식의 개별적 표현이다. 덕의 본질은 지식이다.
라는 논리로 되어있어서 제가 잘못 알아온 것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