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유나
등록일
2019년 08월 09일 22시 19분
조회수
66
첨부파일
1. 기출문제 분석집 511p 문제 예시답안을 보면, 현실주의는 오직 개별 주권국가만을 국제 관계의 행위 주체로 본다고 적혀있는데요. 3-4월 교재에 현실주의에 대한 설명을 보면 '국제 관계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는 주권국가이며, 비국가행위자들도 국제 관계 속에서 실제로 행동하고 있지만, 이들의 역할은 국가의 역할에 비하면 부차적' 이라고 나와있는데 그렇다면 비국가행위자도 국제 관계의 행위 주체가 될 수 있는 것 아닌가용? 주권 국가가 주요 행위자(or 중요한 행위자)인건 알겠는데, '오직' 개별 주권 국가'만'이 국제 관계의 행위 주체라는 부분은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ㅠㅠ 2. 프로이트 - '선천적인 본능적 욕구와 사회적 기대 사이의 갈등에서 생겨나는 정서적 갈등의 경험이 도덕성 발달을 이끈다.' 에릭슨 - '프로이트와는 달리 삶에서 경험하는 개인적, 사회적 갈등 혹은 위기를 인간의 성장을 위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본다.' 두 문장이 상충하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요? 에릭슨의 설명에 '프로이트와는 달리'가 붙는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프로이트의 입장에서 도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은 개인보다 사회에 더 도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것인가요? 그치만 프로이트한테도 '성장'만을 놓고 본다면 긍정적인 요인은 맞지 않나요? ㅠㅠ 무엇 때문에 '프로이트와는 달리'라는 말이 붙는 건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