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칸트 행복

작성자
오현정
등록일
2019년 08월 10일 12시 52분
조회수
52
첨부파일
법칙에 규정되는 의지의 필연적인 객관, 도덕적 의지의 선험적 객관 혹은 순수실천이성의 필연적 객관 이 왜 행복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행복이 질료이기 때문에 , 객관적이고 선험적이고 필연적인 성격의 것이 된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최고선의 촉진을 지시하게 되는 의지의 규정 근거는 행복이 아니라 도덕법칙이다, 도덕법칙은 세계에서 최고의 가능한 선을 나의 모든 처신의 최종 대상으로 삼을 것을 지시명령한다. 이런 내용의 원문 표현과 같이 볼 때 행복과 도덕의 역할이 헷갈려요 ㅠ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