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목적론적 윤리, 의무론적 윤리, 덕윤리의 차이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9월 02일 21시 29분
- 조회수
- 26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공리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확립된 윤리학이 아닙니다. 공리주의를 목적론적 윤리학이라 하는 이유는 공리주의가 행위의 옳고 그름을 좋거나 나쁜 어떤 결과,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실현이라는 목적의 성취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2. 의무론적 윤리는 행위의 도덕성은 그것의 결과의 좋고 나쁨과는 상관 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우리가 준수해야 할 의무 혹은 도덕법칙의 준수 여부에 따라 판정된다고 주장하는 윤리입니다. 반면에 목적론적 윤리는 행복이나 쾌락과 같은 본래적인 선으로 간주되는 목적의 성취 여부에 따라 행위의 도덕성을 판정하고자 하는 이론입니다. 공리주의는 목적론적 윤리에 속하는 윤리학입니다. 공리주의가 최상의 도덕원리로 주장하는 공리의 원리는 우리에게 궁극 목적, 즉 행복의 최대 증진을 요구하는 원리이지,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의무를 무조건적으로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원리가 아닙니다.
3. 덕 윤리는 가치나 원리를 최상의 원리로 설정하여 그것에 따라 행위의 도덕성을 판정하고자 하는 윤리가 아닙니다. 여타의 자료를 참조하여 덕 윤리의 성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김수원 회원님의 글] ▒▒▒▒▒▒
1. 공리주의의 목적론적 윤리와 아리스토의 목적론적 세계관 간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목적론적 윤리가 목적론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인가요?
2.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쾌락 이라는 목적을 위해, 공리의 원리를 수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목적론적 윤리라고 불리는 건가요? 만약 공리의 원리를 원칙으로 하여, 다른 규칙들을 연역해낸다면 이건 의무론적 윤리가 되는건가요..?
3. 의무론적 윤리와 덕윤리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둘 다 특정 가치나 원리를 최상의 원리로 설정한 후, 이를 통해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세부 규칙들을 만들어내는 건가요...? 구분이 잘 안 됩니다.ㅠㅠ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