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로크의 명시적동의와 묵시적동의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9월 03일 21시 59분
- 조회수
- 46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동의는 '사회계약의 방법'이 아니라 사회계약과 동일의 의미로 로크가 사용한 용어입니다.
로크에 의하면, 명시적 동의는 정치 사회의 기원이자 동시에 국가의 명령에 복종해야 하는 의무의 근거입니다. 그리고 묵시적 동의는 명시적 동의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국가의 명령에 대한 개인의 복종 의무의 근거를 밝히기 위해 로크가 사용한 개념입니다.
▒▒▒▒▒▒ [ㅈㅎㅈ 회원님의 글] ▒▒▒▒▒▒
로크가 말한 정치사회를 만드는 사회계약의 방법으로서의 동의는 '명시적 동의' 인거죠?
그럼 로크는 국가 복종의 근거는 묵시적 동의, 사회계약은 명시적동의이므로 묵시적&명시적 동의를 둘 다 주장한 학자 맞죠?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