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구성주의 국제관계이론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9월 10일 18시 38분
- 조회수
- 7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구성주의에 의하면, 국제 관계의 구조는 특정한 관념, 규범, 정체성을 소유한 국가 구성원들 사이의 간주관적 상호작용을 통해 생산되고 변동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제 사회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간주관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수많은 국가 구성원들이 소유한 관념, 규범, 정체성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러한 인식을 소유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미래에 대한 예측력의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성주의는 국가의 정체성이나 규범 등 개별 국가가 지닌 관념론적 요소에 집중한 나머지 국제 사회의 변동의 주요 원인이 되는 물질적 요소의 중요성을 경시하는 문제점을 지닌 이론이기도 합니다.
2. 현재 자신의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좋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임현주 회원님의 글] ▒▒▒▒▒▒
밑에서 예측력이 왜 부족하고 개별국가의 속성을 강조한다는 것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교수님 911 월강의를 신청했는데
시간이부족하여 문제만 풀고 답안제출하고 가도되는지요
아니면 교수님 해설을 듣는게 나을지요ㅡ시간이 부족해도ㅡ
직접찾아뵙고말씀드려야되는데 불가피하게 이렇게여쭤봅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