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루소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9월 17일 20시 42분
조회수
168
첨부파일
1. 쇠사슬은 ‘부자유’, ‘불평등’을 상징합니다. 2. 루소의 주장으로 답변을 대신하겠습니다.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나지만 곳곳에서 사슬에 매여 있다. 남의 주인으로 자처하는자가 더 심한 노예상태에 떨어져 있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뒤바뀜이 생겨났는지 나는 모른다. 그렇다면 이것을 정당한 것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이 물음에는 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원초적인 자연상태와 불의한 계약을 통해 확립된 사회에는 마음에 끌리는 것이라면 언제든지 취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무제한의 권리와 불의한 권력에 의해 유지되는 소유의 권리만이 있을 뿐, 정의로운 시민법에 의해 보호되는 사적소유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사적소유권은 이상적인 사회계약의 산물입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사적소유권을 포기한다는 말은 성립할 수 없습니다. ▒▒▒▒▒▒ [오현정  회원님의 글] ▒▒▒▒▒▒ 루소의 지문 중에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지만 쇠사슬에 매여있다. 쇠사슬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불평등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나요? -남의 주인으로 자처하는 자가 그들보다 오히려 더 심한 노예 상태에 떨어져 있는 것이다. 라는 의미도 왜 주인이 노예들보다 더 노예상태에 떨어져 있다고 하나요? -사회계약을 통해 모든 것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한다는 뜻은, 자연에 있는 공유물들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는 하되 사적소유권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 맞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