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칸트, 로크, 콜버그

작성자
ㅈㅎㅈ
등록일
2019년 10월 08일 10시 23분
조회수
67
첨부파일
1. 7,8월 문제풀이>정치>루소>4번 : 로크와 루소의 정치사회 및 국가 수립 방식에 대한 비교 -> 로크의 국가 수립 방식이 모범답안에서는 자연법의 집행권과 입법권을 공동체의 수중에 양도하여 고통의 권력을 확립함으로써 수립된다. 라고 되어있는데, 저는 '동의'라는 키워드 위주로, 동의의 내용인 앞의 모범답안+다수결로 채택된 규칙에 복종 내용을 모두 서술했거든요. 국가 수립 방식을 쓸 때 동의라는 용어가 꼭 들어가야 점수를 받는다고 생각했는데 안 써도 무방한가요? 그리고 동의의 내용도 2가지가 있는데 모범답안처럼 그중에서 입법권과 집행권 부분만 서술해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2. 칸트의 자유와 자율 1) 칸트가 말하는 자유는 모두 자율로서의 자유인가요?? (스피노자가 자유의지로서의 자유와 참된 자유를 구분했던 것처럼, 칸트가 자유라고 했을때 경향성과 관련된 자유와 자기입법으로서의 자유 이렇게 두가지 의미가 있는 건 아니죠?뭔가 그랬던 거 같기도 하고 갑자기 헷갈리네요) 2) 만약 원문에 자율의 의미인 용어를 기입하는 문제가 나왔을 때, 그냥 자유라고 쓴다면 틀리게 되는 건가요? 아니면 원문 내용에 따라 달라지나요? 예를 들어 도덕법칙은 자유의 인식 근거이라 라고 할 때는 자유가 자율의 의미인데 그냥 자유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처럼 자율로서의 자유를 그냥 자유라고만 쓰기도 하길래.. 기입형 문제에서 정확히 어떻게 써야하는지 혼란스럽습니다. 3) 콜버그의 옳은 행위의 의미와 옳은 행위를 하는 이유 -> 이 두 가지가 같은 단계여도 서술이 조금씩 달리 되어있던데. 자꾸 혼합되어 생각나서요 ㅜㅜ 저 둘은 반드시 교재에 나와있는 대로 나뉘어서 써야 되는 건가요? 예를 들어 3단계에서 옳은 행위를 하는 이유를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이 기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렇게 옳은 행위의 의미라고 나와있는 부분을 응용해서 서술하는 건 틀린 답이 되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