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이황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11월 05일 17시 18분
조회수
24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기질지성은 개체들의 고유한 특성을 결정하는 궁극적 요인입니다.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의 근원이 된다는 것, 달리 말해서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을 낳는다는 말은 곧 개체들의 고유한 특성을 결정하는 궁극적 요인은 기질이 아니라 능동적 작용력을 지닌 천리 그 자체인 본연지성이라는 말입니다. 이황은 기질지성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본연지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본연지성은 기질과 함께 기질지성을 구성하는 근본 요소라는 주희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합니다. 2. 이황은 소주, 소종래를 기준으로 하여 사단과 칠정을 완전히 다른 성격을 지닌 정으로 구분합니다. 비록 이황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입장은 정을 두 개로 구분하는 것으로 보였고, 실제로 이이와 같은 학자들은 이황이 정을 두 개로 구분하고 있다고 비판하였습니다.   ▒▒▒▒▒▒ [신현우  회원님의 글] ▒▒▒▒▒▒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1.이황의 성 개념: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의 근본이고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에서 기인한다는 의미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이생기처럼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을 낳았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하나요? 아니면 가치론적으로 본연지성이 더 가치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그리고 이황의 성도 선한 것이 본연지서이고 기질지성은 기질 중에 있는 본연지성이라면 주자, 이이처럼 결국 성은 하나이고 포함관계에 있는 것가요? 이황과 주자,이이의 성 개념의 차이가 명확하지가 않습니다.^^ 2.이황의 정 개념: 그렇다면 정도 사단 따로 칠정 따로 해서 2개의 정이 이다고 해석해도 되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