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정치, 응용관련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11월 05일 18시 47분
조회수
10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1. 원어에 의거할 때 귀족정이 아니라 과두정이라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적극적 자유는 자신의 선택과 결정에 따라 목적을 설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처럼 적극적 자유는 합리적 자기 통제로서의 자율의 성격을 지닌 자유 개념입니다. 스토아학파는 자연법 인식에 근거한 이성의 요청에 근거하여 그러한 요청에 부합하는 삶을 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을 인간의 참된 자유로 봅니다. 이런 점에서 스토아학파의 인간의 참된 자유는 자율의 성격을 가집니다. 이 때문에 벌린은 스토아학파의 입장을 적극적 자유의 대표 입장으로 간주합니다. 3. 생명의 의지는 생명의 본질입니다. 따라서 생명의 곧 생명의 의지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생명을 정의할 때에 ‘생명은 생명이다.’라고 정의해서는 안 됩니다. 정확히 생명은 생명의 의지라고 정의해야 합니다. 정의항에는 언제나 피정의항의 본질적 성격이 서술되어야 하니까요. 그리고 우리가 모든 생명체를 도덕적으로 존중해야만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해야 할 때에도 ‘생명체는 생명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정확히 ‘모든 생명체는 신성한 혹은 내재적 가치를 지닌 생명의 의지로서의 생명을 지닌 생명체이기 때문에’라고 서술하셔야 합니다. ▒▒▒▒▒▒ [박성진  회원님의 글] ▒▒▒▒▒▒ 1. 로크 14번 / 정부의 형태 로크는 정부의 형태를 민주정, 과두정, 군주정으로 구분했다고 예시 답안에 나와 있는데요 과두정 대신 귀족정 기재하면 틀린 답인가요? 2. 민주주의 1번 / 적극적 자유 관련 스토아학파의 자유 개념은 왜 적극적 자유에 해당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3. 응용윤리 / 개체론적 환경윤리 / 9번 슈바이처 슈바이처에게 생명과 생명의 의지는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