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성리학과 양명학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송미정
등록일
2019년 11월 09일 19시 39분
조회수
108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1. 주희 공부론 대학 팔조목을 설명하실적에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을 나열하시면서 격물 치지 성의 정심이 모두 수신의 방법이라고 하셨는데 성의, 정심이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라고 보고 넓은의미로 행공부이기에 수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은 들지만 격물 치지가 어떻게 수신의 방법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수신은 실천을 담고있는 개념 아닌가요?(순자의 수신 설명에서 실천이 강조되는 것 같아서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2. 격물치지와 궁리를 같은 개념으로 봐도 될까요? 2-2. 그리고 격물이 치지에 앞서는데 왜 원문에는 치지격물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3. 거경과 궁리의 선후를 나눌 수 있나요? 선지후행의 입장에서 궁리 후 거경 인지 아니면 거경은 모든 공부를 관통하기때문에 먼저 일어나야한다고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4. 이황이 생각하는 성발위정은 주희와 같이 성을 본연지성으로 보는 것 맞나요? 4-2. 이이의 심성정의일로설에서 성발위정, 심발위의를 거부하고 성정의는 기발로 모두 설명된다고 보았는데 그이유가 정의 근원이 성이되고 의의 근원은 심이되기때문에 두개의 마음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강의에서 말씀하셨는데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5. 맹자도 왕수인과 같이 양지를 시비지심으로 보나요? 6. 왕양명이 주희의 인심도심설을 비판하는 이유가 도심에 의한 인심의 규제는 한 마음에 인심과 도심이 같이 있어야만이 가능한 일인데 마음은 그저 사심물욕이 있으면 인심이고 없으면 도심인 것이기에 주희의 주장은 각각 하나의 마음을 두개의 마음으로 나누는 것이라는 비판을 하잖아요. 그렇다면 이이의 인심도심종시설은 <도심에 의한 인심의 규제> 를 인정하는 것인가요? 즉, 인심의 도심화 라는 말이 도심에 의한 인심의 규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