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환귀일심에 대해 질문합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11월 12일 17시 14분
- 조회수
- 16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제 교재에 환귀일심이 나오는 부분은 원효의 이론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일 것입니다. 원효에 의하면, 환귀일심은 수행을 통해 도달해야 할 목표이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행의 핵심 방법으로 원효가 강조한 것이 지관이행입니다.
2. 천지만물의 이법인 천리가 인물에 품수된 것이 본연지성이고, 본연지성의 본체가 인입니다. 따라서 인은 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자체 천리인 본연지성 그 자체가 인입니다. 측은지심은 본연지성의 본체인 인인 발하여 나타난 정입니다. 이러한 주희의 입장을 이이는 그대로 수용합니다. 그리고 ‘성발위정’은 마음의 작용을 제외하고 오직 성과 정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나온 주장입니다. 하지만 심성정의 실제적 관계를 보면 정은 심이 성을 운용하여 드러나는 것입니다. 이 또한 주희의 입장이자 이이의 입장입니다.
3. 아마도 질문자께서는 이황이 마음은 둘이라고 주장했다고 생각하시고 질문하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질문자께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를 먼저 말씀해 주셔야 제가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4. 실천적 지혜와 철학적 지혜는 상이한 이성의 기능에 대응하는 탁월성이므로, 실천적 지혜를 갖추었다 해서 필연적으로 철학적 지혜를 소유하는 것은 아니며, 그 역도 마찬가지입니다.
▒▒▒▒▒▒ [정이슬 회원님의 글] ▒▒▒▒▒▒
1. 교수님의 동양 기본 서적에는 환귀일심의 수양법에 지관수행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귀일심에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지관(선정, 반야)'로 이루어진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환귀일심의 수양법을 작성하라고 하면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 건가요?
2. 주희와 이이의 '인'에 대한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주희의 인은 리에서 나온 것이고, 이것이 정이 되었을 때, 측은지심 곧 정이 나타난다라고 하고
이이는 심성정의일로설을 활용해 인이 아닌 마음이 성을 운용해서 정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들은 것 같은데 '인'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이황과 이이의 공통점이 두 가지 마음이 존재하는 게 아닌, 무엇을 지각하느냐로 구분되기 때문에 마음은 오직 하나라고 말씀하신 것 같은데 이황이 왜 마음을 하나로 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4.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실천적 지혜에 있는 사람이 철학적 지혜있는 사람이 되는 건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