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적극적 자유의 문제점에 대해 질문합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11월 12일 17시 25분
조회수
12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1. 적극적 자유를 수용할 경우 개인의 내적인 정신적 자유만를 자유의 본질로 간주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부자유 상태에 무관심해지기 때문에, 자기 부정 혹은 내면으로의 후퇴라는 부정적 결과가 생겨난다는 것이 벌린의 주장입니다. 2. 벌린은 적극적 자유 개념에 대한 지지는 결과적으로 전체주의를 야기한다고 보고 그것에 반대합니다. 그의 반대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적극적 자유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진정한 자아를 더 큰 전체적 자아, 즉 민족이나 국가의 일부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들은 고차원적인 자유는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고 더 큰 전체적 자아 혹은 전체의 의지를 따를 때에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개인들은 자유롭도록 강제되어야 한다는 역설적 주장은 이러한 관점에서 나온 것으로, 결국 이와 같은 자유 개념을 지지할 경우 전체를 위해 개인의 자유가 억압되는 전체주의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 [오윤경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제가 잘 이해한 것인지 의문이 들어 질문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이렇습니다. 1. 적극적 자유를 지지할 경우 스토아학파의 자유와 같이 외부의 힘이나 법에 자율적으로 따르는 것을 진정한 자유라고 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기부정이 발생한다 2. 적극적 자유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공동체 혹은 국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들이므로 그들은 개인을 민족이나 국가의 부분에 종속시킨다. 이는 전체주의를 야기할 수 있다 늘 많은 도움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