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① 불교 질문 재업로드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1월 06일 18시 35분
조회수
48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2. 중국 천태종은 5시8교의 교판에 입각한 불교 이론 공부(敎學)와 실천 수행법인 지관 수행을 함께 하는 교관2문의 수행 체계를 성불을 위한 수행 체계로 제시하였습니다. 천태종인 성불의 위한 수행 체계로서 교관2문을 제시하였다는 것은 실천 수행법인 지관은 항상 불교 이론 공부와 더불어 행해져야 한다는 것, 달리 말해서 이론 공부와 실천 공부는 따로 분리되어 행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러한 천태종의 입장을 수용하여 의천은 화엄학을 중심으로 한 불교 이론 공부와 실천 수행법인 지관 수행을 함께 할 것을 강조하는 교관병수를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위한 방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3. 신수와 혜능은 깨달음을 얻는 방법과 관련하여 상이한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신수는 마음의 망념을 차츰 제거해 나가는 방법을 통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고, 혜능은 점차 닦는 과정은 필요 없으며, 마음에 단도직입하여 단번에 깨닫는 방법을 통해 깨달음을 증득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전자의 방법을 점수라 하고, 후자를 돈오라 합니다. 이처럼 점수와 돈오는 깨달음을 얻는 상이한 두 방법입니다. 따라서 신수와 혜능에게 있어서 ‘점수돈오’는 성립할 수 없는 개념입니다. 4. 혜능은 본래 자성이 곧 정혜라 주장합니다. 따라서 혜능이 자성정혜를 주장했다고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5. 수상정혜는 불교삼학의 단계적 수행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생겨나는 망념과 산란함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하나하나 제거해 나가는 수심의 방법을 일컫는 것입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 의천에서 교선일치의 논리에서 교학공부와 선 실천 수행(수심)을 동시에 강조하는 지관병중 이라고 나오는데 교관과 지관의 차이가 지관을 합쳐말한 것이 관이라고 하였고, 교는 교학적 측면이라고 말씀하셨잖아요 1. 그러면 저기 위에 지관병중이 어째서 교학공부까지 강조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요? (선정 - 정 - 지 → 행 공부 의 측면으로 이해했고, 반야 - 혜 - 관 → 지 공부 의 측면으로 이해해서 헷갈리네요 ㅠㅠ) 2. 그리고 좌선과 지관의 수행을 중시하는 천태교관이 보다 포괄적이어서 선종도 포괄할 수 있다고 보았다고 하는데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3. 신수는 점수돈오라고 할 수 있을까요? 4. 자성정혜라는 개념을 혜능도 사용한 것 맞나요? 아니면 지눌이 혜능의 자성삼학을 자성정혜라고 바꿔 사용한 것이므로 혜능에서는 자성정혜라는 말을 사용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5. 수상정혜가 계 정 혜 를 단계적으로 닦으라는 말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