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② 도가 질문 재업로드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1월 06일 19시 23분
- 조회수
- 36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가 사상가들에 의하면, 도와 합일하여 무위, 무욕, 무지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생을 보존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경지는 곧 소요유의 경지, 즉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의 경지입니다.
2. 네. 인이란 사람과 만물에 대한 사랑이고, 이 때 사랑은 살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3. 『장자』에서 개인들마다 성이 다르다는 표현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장자가 하지 않은 주장을 제가 단정적으로 무엇이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무척 위험한 것이기 때문에 명확히 답변을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바랍니다.
4. 소요유의 경지와 제물의 경지는 동일한 경지입니다.
5. 안명은 인간세에서 자신의 생을 보존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리고 이명, 인시, 도추, 양행은 제물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이고, 좌망과 심재는 도와 합일하는 적극적 방법입니다.
6. 도가 사상가들은 ‘옳다’, ‘그르다’는 차별적 언어를 사용한 일체의 판단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합니다.
7. 도가의 자연 개념과 스토아학파의 자연 개념은 완전히 다른 두 개념입니다. 특히 도가의 자연개념에는 영원불변하는 본성이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지 않습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동양 부분 질문드립니다!
1. 도가에서 절대적 정신의 자유와 생의 보전이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가요?
도가 생의 법칙이라 그런 것인가요?
2. 그렇다면 유가도 인을 생의 법칙으로 보기에 생의보전을 중시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요?
3. 그리고 장자 학 이야기 해주시면서 새의 성과 사람의 성은 다르다고 하셧는데
그러면 혹시 개별자인 사람마다의 성도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사람의 성은 서로 같다고 보아야할까요?
4. 제물의 경지와 소요유의 경지는 같은 경지인가요?
소요유가 절대적 정신적 자유의 경지, 물아일체의 경지이고
제물론은 이러한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연구라고 이해하였는데
프린트자료에서 제물의 경지란 만물제동, 물아일체의 경지라고 나와있어서요 ㅎㅎ
동일한 경지로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요?
5. 체도의 소극적 방법은 안명, 그리고 제물론에 나오는 이명, 인시 , 도추, 양행이고
적극적 방법은 좌망과 심재로 보면되는 것인가요?
6. 예전에 도가와 묵자 문제에서 도가는 누가 옳은지 결론지을수 없다고 하고, 묵자는 삼표법이 있으므로 옳고그름을 가릴 수 있다고 강의에서 나오는데 그러면 도가는 모두가 옳다고 판단하는 것인가요 ? 도에 어긋나지만 않는다면...?
7. 도가의 자연도 스토아의 자연처럼 본성이라는 뜻을 담고있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