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1월 15일 11시 36분
조회수
24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4, 8~9번 질문의 내용은 아직 강의하지 않은 내용입니다. 강의를 들으시고 다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5. 해당 인용문이 사용된 맥락에서 ‘지성이나 사유’는 ‘실천적 지혜를 소유한 올바른 지성과 그것에 따른 올바른 사유’를 일컫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는 해당 인용문이 사용된 맥락에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6, 7. 욕구적 지성에서 욕구는 성격적 탁월성을, 지성은 실천적 지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합리적 선택은 탁월성이 아닙니다. 그것은 욕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을 숙고하여 선택하는 이성 혹은 지성의 작용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합리적 선택이 언제나 참된 것이 되기 위해서는 품성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합리적 선택 그 자체가 탁월성인 것은 아닙니다. 10. 자연적 탁월성이란 이후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태입니다. 이러한 자연적 탁월성이 훈련을 통해 완성되면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 즉 품성의 탁월성이 됩니다. ▒▒▒▒▒▒ [이혜진  회원님의 글] ▒▒▒▒▒▒ 아리스토텔레스 부분에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는 강의책 원문을 인용한 것입니다. 1. <육체적인 고통이 졌기 때문에 고통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에 의해 고통을 회피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 Q. 여기서 선택에 의해 고통을 회피하는 사람은 무절제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2. <그런데 선택에 의하여 행하지 않는 사람들 중 한편은 즐거움 때문에 이끌리고 다른 편은 충족되지 않는 욕망으로부터 나오는 고통을 피하려 하기 때문에 이끌린다. 이 둘은 서로 다르다.> Q.여기서 즐거움때문에 이끌리는 사람은 무절제한 사람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만약에 그렇다면, 바로 윗부분에 '선택에 의하여 행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무절제한 행위는 '합리적 선택'의 결과물이지 않나요? 3. Q. 그리고 충족되지 않은 욕망으로부터 나오는 고통을 피하려 하는 사람은 자제력이 없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4. <합리적 선택에 어긋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합리적 선택에 따르는 것이다.> Q .여기서 전자는 자제력이 없는 사람,후자는 무절제한 사람을 지칭하는 건가요? 5. <합리적선택은 지성이나 사유 없이 생기지 않고, 또 성격적 품성상태 없이도 생기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지성과 사유는 실천적 지혜를 지칭하는 것인가요? 6. <합리적 선택이란 욕구적 지성이거나 사유적 욕구인 것이며,인간이 바로 그러한 원리이다.> 여기서 욕구는 성격적 탁월성을, 지성은 실천적 지혜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7. 만약 그렇다면,욕구가 왜 성격적 탁월성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의미에서 욕구가 품성적 탁월성을 지칭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8.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활동'이라는 개념이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이 개념과 대비되는 개념이 무엇인가요? 9. <이 활동이 가장 연속적이다. 우리는 어떤 것을 행위하는 것보다 두 연속적으로 관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행위와 관조를 분리시키고 있는데, 지적인 탁월성 중 학문적 인식,직관적 지성은 행위라고 보아야 하나요? 10. 자연적 탁월성과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 부분에서, 자연적 탁월성이라 함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은 실천적 지혜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이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이 곧 품성적 탁월성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질문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