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셸러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2월 04일 20시 32분
조회수
19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가치 자연주의는 가치를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객관적 사실의 속성으로 보는 입장입니다. 2. 칸트에게 있어서 선의지는 오직 실천 이성이 입법한 도덕법칙만을 자신의 규정 근거로 삼는 의지입니다. 반면에 셸러의 우리의 의지가 더 높은 가치를 지향하는 선천적인 감정과 일치할 때, 그러한 의지를 선의지라 합니다. 3. 존재 당위로 주어지는 전형은 의지를 규정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전형에 부합하는 삶을 살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4. 네. 5. ‘인과적 자연법칙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성과 스스로 입법한 도덕법칙에 의한 자기 지배’가 칸트의 자율 개념입니다. 반면에 셸러의 자율은 ‘통찰한 실질적 가치를 아무런 저항 없이 행위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정의됩니다. 두 정의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 [손민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셸러 공부하다가 모르는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1. 학습포인트에 보면 셸러가 가치 자연주의를 지적했다고 하는데 '가치 자연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2. 선의지의 성격에 대해 칸트와 셸러의 차이를 이야기해보자면, 칸트는 이성, 셸러는 감정으로부터 선의지를 규정했다고 볼 수 있나요? 3. 전형이 도덕적 삶에서 수행하는 역할은 인간으로 하여금 전형을 복종하고 사람하여 추종하게 한다는 역할을 말하는 걸까요? 4. 전형을 통해 도덕적 행위의 산출과정을 설명하시오. 전형은 의지 작용의 기초가 되는 심정을 미리 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형은 의지 작용에 앞서 존재한다. 인간은 이러한 전형을 사랑함으로써 그것을 추종하게 되고, 전형은 인간을 자신에게로 강제하는 힘을 가진다. 따라서 도덕적 행위는 인간의 마음 안에 항상 활동하고 있는 전형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렇게 답을 달았는데 맞는 답인가요? 5. 인격의 자율에 대해서 칸트와 셸러의 차이는 의무로 보면 될까요?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본문

댓글목록

profile_image

손민지의 댓글

손민지 작성일 2020-02-05 14:26:5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