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벤담 질문

작성자
조서영
등록일
2020년 02월 08일 00시 12분
조회수
71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서양*동양 한국윤리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올라온 벤담 강의를 듣고 궁금증이 생겨 글을 질문드립니다. 1. 강의에서 (3) 동기주의 비판 부분 설명하실때 동기주의는 기본적으로 결과주의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벤담이 말하기를 행위의 도덕성판단기준은 동기가 될 수 없고 행위가 발생시키는 결과의 성격이 기준이 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벤담은 결과의 성격을 중시해서 결과주의라고 볼 수 있는 거 아닐까요? 근데 동기주의를 비판한 벤담이 동기주의가 기본적으로 결과주의인데 결과주의라고 할 수 없는 것 같기도 하고 혼란스러워서 질문드립니다. 2. 강의에서 '덕과 행복의 관계'를 설명해주실때 덕은 능력이다라고 이야기해주셨습니다. 그런 후 벤담이 말하는 덕은 행복이 아니라 행복을 성취하는 수단이라고 하시면서 덕은 수단적 가치라고 말씀해주셨다. 그런데 소크라테스의 덕역시 고유한 기능을 잘 수행하는 '능력'입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덕을 행복이라고 봤습니다. 그런데 벤담은 행복이 아닌 행복을 성취하는 수단이라고 했습니다. 이 부분을 반복해서 들어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 쉽게 설명해주세요 ㅠ 3. 소크라테스 입장에서는 덕이 수단적 가치가 아닌 본질적 가치인가요? 제가 이제 도덕 공부를 시작하는데 강의에서 열심히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