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 모아서 남깁니다.ㅠㅠ

작성자
김민정
등록일
2020년 02월 27일 15시 54분
조회수
128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김병찬 선생님의 동양, 서양, 한국 윤리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김민정입니다. 강의를 수강하다가 의문이 남는 점을 모아 질문글을 남깁니다. 1) 플라톤 // 도덕적 가치는 이데아계/현상계 중에 어떤 것에 속하나요? 현상계에서 볼 수 있는 의로운 행동은 이데아계에 있는 ‘의로움’이라는 이데아가 근본이 되는 것인가요? 2) 플라톤 // 동굴의 비유에서 죄수 = 이데아를 깨닫지 못한 자들로 동일시가 안되는 건가요? 예전에는 그렇게 배웠었던 것 같은데, 31p에 나오는 그림을 보면 죄수는 인공물의 그림자밖에 보지 못하는 존재이고, 우리는 인공물 (생물과 무생물), 불 (태양)까지는 볼 수 있으니 죄수와는 동일시 되지 않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3) 플라톤 // 교재 37p의 제시문에서 ‘의견은 생성에 관련된 것’이라는 말의 뜻이 이해가 되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4) 아리스토텔레스 // 교재 78p에서 ‘즐거움은 활동의 필연적 수반물이다’라고 나와있는데, 여기서 즐거움은 (덕 있는 사람에게) (덕있는) 활동의 필연적 수반물이라고 해석해야 하나요? 즉, 괄호에 나와있는 부분이 생략되어 있다고 보는 건가요? 5) 에피쿠로스 // 에피쿠로스 학파가 인간의 자연본성으로부터 최고선을 이끌어낸 것이 윤리적 쾌락주의를 주장하는 것 (자연주의적 오류가 포함됨)이라 생각했는데,‘심리적 쾌락주의’라고 언급하셔서 이 부분에 대해 의문이 남습니다. 6) 아우구스티누스 // 좋은 사랑을 하는 사람은 곧 덕이 있는 사람이라고 봐도 무방한가요? 7) 아퀴나스 // 사랑은 믿음과 소망이 포함된 개념, 즉 믿음과 소망을 가지고 있어야 도달할 수 있는 덕인가요? 8) 스피노자 // 사랑과 미움은 외부 원인의 관념을 동반하는 것이니 능동적 감정이 될 수는 없는건가요? 만약 가능하다면,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9) 스피노자 // 능동적감정/수동적감정을 이해할 때, 능동적 감정 : 나의 본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역량 변화 = 나 때문에 발생한 역량 변화 수동적 감정 : 나의 본성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역량 변화 = 외부 요인(혹은 외부요인+나)으로 인해 발생한 역량 변화 (+요인을 파악할 수 없는 감정) 이렇게 능동적 감정/수동적 감정이 감정의 발생 요인이 나인지, 외부 요인인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타당한 인식을 소유하면 능동적감정, 그렇지 못하면 수동적감정이라고 해서 이 부분이 정말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만약 외부 요인으로 인해 역량 변화가 발생했는데, 그 인과관계를 제가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다면 그건 능동적감정인가요, 수동적감정인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ㅠ 아무리 돌려봐도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10) 스피노자 // 신에 대한 인식이 외부 원인 관념이면 어떻게 능동적 감정일 수 있냐는 질문에서 ‘신은 외적이자, 내적이다’라고 대답해주셨는데, 그 의미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설명 부탁드려요..ㅠ 아직 학교에서 전공 수업을 다 수강하지 못한데다가, 공부의 깊이가 깊지 못해 핀트에 어긋난 질문이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ㅠㅠ 양해 부탁드려요ㅠ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