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3월 02일 21시 21분
조회수
22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내적인 자기 처벌은 사고에 의해 생겨나는 고통과 두려움, 달리 말해서 규칙 위반시 생겨나는 강한 내적 죄책감을 감소 혹은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징벌의 결과를 범죄에 맞춘다는 것은, 예를 들어 유리창을 깼을 때 고쳐주지 않아 추위를 겪게 하는 것과 같이, 범죄 혹은 규칙 위반에 대해 즉각적이고 물질적인 처벌의 결과를 경험하도록 한다는 말입니다. 3. 도덕적 행동 산출을 위한 심리적 과정에서 도덕판단이란 주어진 도덕 문제를 사고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도덕판단은 의무판단과 책임판단의 매개 과정을 통해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4. ‘정의공동체접근법은 정의의 도덕성과 공동체의 도덕성의 결합’이라 할 때, 정의의 도덕성이란 정의의 원리에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추론하고 그러한 추론의 결과에 입각하여 행동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물론 후기 도덕교육론에서 콜버그는 학교 교육을 통한 도덕성 발달의 목표를 4단계에 이르는 것으로 설정합니다. 5. 참여민주주의가 실현된 학교 환경에서 실행되는 교화와 주입은 학생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것이 콜버그의 입장입니다. ▒▒▒▒▒▒ [김노아 회원님의 글] ▒▒▒▒▒▒ 1. 밴두라의 이론 중 자기 규제 메커니즘은 두 종류의 자기 규제 방식을 사용한다고 하고 그 중 자기 비판적 반응은 도덕규범의 위반에 따른 내적 자기 처벌인데 주석으로 보면 자기 처벌은 위반과 그에 따른 사회적 반향에 대한 고통을 종식시키고, 타인의 승인을 회복시키는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자기 처벌은 실제적 처벌에 의해 생기는 고통보다 더 고통스럽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사고에 의해 생긴 고통과 두려움을 감소시킨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이것이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감이 안와서요. 자기 비판적 반응으로 고통을 잊는다는 것인가요? 아니면 애초에 비도덕적 행위를 하지 못해게 막아서 고통을 종식시킨다는 것인가요? 2.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서 자율적 도덕성 단계에서 이 단계에서 아동은 호혜성에 의한 첩러 혹은 상호적 처벌을 선호한다고 하는데 이때 징벌 결과를 범죄에 맞춘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3. 콜버그 캔디 모형에서 도덕판단 의무판단 책임판단 도덕적 행동의 과정에서 도덕판단이라고 하는 것은 도덕적 문제 상황을 파악한다는 것인가요? 도덕 판단이라고 해서 판단을 내리는 것은 아닌 것 같아서요 4. 정의공동체접근법은 정의의 도덕성과 공동체의 도덕성의 결합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이 때 정의는 4단계의 정의를 말하는 것인가요? 5. 정의공동체 학교의 구조는 참여민주주의의 형태로 교화와 주입은 학생들의 개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라고 강의에서 말씀하셨는데요. 이 때 교화와 주입이 참여민주주의가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도입이 되기 때문에 직접적 교화와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라는 의미가 맞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