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입니다.

작성자
강효경
등록일
2020년 03월 21일 23시 24분
조회수
58
첨부파일
항상 유익한 강의, 질문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리스토텔레스 1) p.59 원문에 “학문적 지혜,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는 원리를 대상으로 할 수 없고 직관적지성이 원리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남는 것이다”라고 되어있는데 학문적 인식의 관력 대상도 그 원리가 다르게 있을 수 없는 존재 아닌가요? 학문적 지혜(인식)이랑 직관적 지성 모두 원리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학문적 인식은 아닌가요? 2) “즐거움의 성격”에 관련한 질문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확인 부탁드려요 교수님! “즐거움이 활동을 최종적으로 완성시킨다.”의 의미 1) 즐거움을 느낌으로써 활동이 더욱 진보하며 2) 즐거움은 완성에 따라오는 필연적인 수반물로서 즐거움이 수반되어야 활동이 완성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두 가지의 의미로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나요? 앞서 스피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잘 이해가지 않아 다시 질문합니다..ㅠㅠ 1) 제 2종의 인식은 그러면 타당한 인식, 즉, 본성이 명확하게 인식되는 인식이지만, 한계는 본질에 대한 인식까지는 아니라는 것이 맞나요? 강의에서는 2종의 인식의 한계는 본질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본질은 신에 대한 절대적 본질을 의미하는 건가요? 2) 코나투스를 양태의 현실적인 본질, 즉 인간의 본성은 코나투스다 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3) 코나투스의 의지, 욕구, 욕망의 용어와 관련하여 정신은 의식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알고 있었는데 의지는 정신과, 욕망은 정신과 육체 + 의식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정신은 의식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