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노유리
등록일
2020년 04월 23일 23시 20분
조회수
85
첨부파일
복습하다가 의문이 드는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 1. 자유주의,민주주의,공화주의,사회주의는 정치체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보아도 되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경제체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보아도 될까요? 2. 인심과 도심에 대해서 질문을 찾아보다가 인심과 도심이 이발심에 해당된다는 답변 글을 보았습니다. 인심과 도심이 왜 이발심에 해당하는 건가요?? 미발 이발심은 성과 정에 해당되는 개념 아닌가요? 인심과 도심은 정이 아니지 않나요? 3. 인심과 도심은 정과 동,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여 작용하는 마음이라는 말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4. 인심과 도심은 마음이 지각작용할떄 그 지각 작용을 하는 주체는 마음의 기입니다. 그렇다면 미발 이발에서 마음에 감응하고 사려하는 주체도 마음의 기인건가요? 5. 정약용은 인심은 형구의 기호가 발현한 마음이고 도심은 영지의 기호가 발현한 마음인데 형구의 기호는 성이고 그러한 성이 발현한 마음이 정이게 되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된다면 인심,도심= 정이 되는거 아닌가요??? 6. 정약용에게 사단의 실천을 통해 확충되는 사덕은 성이 아니라 단순히 인륜의 덕인거죠? 7. 이황을 제외하면 주희 이이 등의 성리학자는 리가 약하고 기가 강하다고 주장하였나요? 8. 이이가 정의 발할때 도의를 위해 발하는 것을 도심이라 하고 정이 발할 때 구체를 위해 발한 것은 인심이라 했습니다. 그리고 기대승도 정이 발하는 것은 혹은 리가 움직임에 기가 갖추어지고 혹은 기가 감응함에 리가 탄다고 고치고 싶습니다. 라고 했습니다. 도데체 정이 왜 발하죠?? 정은 이미 발한거 아닌가요? 발한 정을 정이 발할때라고 한건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