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칸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4월 29일 12시 25분
조회수
34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의지가 오직 의무에 의해서만 규정될 때, 그 의지를 선의지라 합니다. 어떤 이유에서 선의지를 ‘선의지에 의해 규정된 의지’라고 생각하셨는지 궁금합니다. 2. ‘예지계의 이성’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순수실천이성은 경험의 영역을 초월하고 보편성과 필연성이라는 이성의 형식에 따라 도덕법칙을 정립하는 이성이고, 순수실천이성이 정립한 도덕법칙만을 자신의 규정 근거로 삼고 있는 의지가 곧 선의지입니다. 3. 정언명령의 도덕법칙의 공식으로서, 개별적 준칙들이 의무가 될 수 있는지를 판별하는 형식적인 도덕원리입니다. 요컨대 정언명령의 최상의 도덕원리이고 개별적인 의무들은 그러한 원리들로부터 연역된 것들입니다. 4. 네. 5. 실천이성은 자신의 정립한 도덕법칙을 따를 것을 의지에 명령하고, 의지는 그러한 명령을 따름으로써 선의지가 됩니다. 그런데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실천이성의 명령에 대한 의지의 복종은 타율적 복종이 아니라 자율적 복종입니다. 6. 의지는 의욕 작용의 하는 마음의 기능이고, 이성은 사유 작용을 하는 마음의 기능입니다. ▒▒▒▒▒▒ [음유선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 1. 의무란 법칙에 대한 존경심에 따른 행위의 필연성이고 선의지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면 의무에 의해 규정된 의지는 선의지에 의해 규정된 의지라고 봐도 되나요? 2. 이성적 존재자의 이성 활동인 예지계의 이성이 현상계의 의지를 규정하는 것이라고 봐도 될까요? 예지계의 순수실천이성이, 또는 선의지가 현상계의 경험적 원리의 영향도 받고 있는 의지와 대립되어 의무로써 드러난 것으로 보아도 될까요? 3. 정언명령이 의무를 판별하는 기준인데 그 자체로 의무가 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정언명령은 형식만 있고 의무는 특정한 행위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4. 의지의 기능을 ~을 의욕하여 행위를 산출함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5. 실천이성이 의지에 영향을 행사하도록 품부되어 있다는 것이 의지로 하여금 자신의 명령을 따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6.의지와 실천이성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