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스티븐슨 절충적 정서주의(제1형의 분석:기초적 모형)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5월 05일 13시 30분
- 조회수
- 14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A 예시는 서술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고, B 예시는 정의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며, C 예시는 ‘나는 이것을 찬양한다.’는 서술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고,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는 정의적 의미에 해당된다고 말씀하셨는데,”: 강의 시간에 제가 이런 방식으로 설명한 기억이 없습니다. 강의 내용을 다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제가 그렇게 설명했다면 잘못된 설명입니다. 예시 A, B, C에서 앞 문장은 도덕적 언명의 서술적 의미를, 뒷 문장은 정의의 의미를 표현한 것입니다.
스티븐슨에 의하면, 청자의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청자의 태도를 고무, 변경, 고정하는 기능을 행하는 것이 도덕적 언명의 정의의 의미입니다.
▒▒▒▒▒▒ [김다성 회원님의 글] ▒▒▒▒▒▒
강의에서 스티븐슨의 도덕적 진술이 서술적 의미( 발언자의 태도나 관심에 관한 사실적 정보제공)와 정의적 의미(청자의 태도를 고무,변경,교정)를 모두 갖는다고 하시면서, 교재에 나온 예로 설명해 주셨습니다.
A) 이것은 잘못이다 : 이것을 나는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
B) 그는 이것을 해야한다 : 그는 이것을 그가 하지 않고 내버려두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
C) 이것은 좋다 : 나는 이것을 찬양한다.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
A 예시는 서술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고, B 예시는 정의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며, C 예시는 ‘나는 이것을 찬양한다.’는 서술적 의미에 해당하는 것이고,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는 정의적 의미에 해당된다고 말씀하셨는데,
A와 B 예시도 C와 같이 ‘너도 그렇게 생각하라.’는 정의적 의미에 해당되고, 그 앞 부분은 서술적 의미에 해당된다고 보아야 하지 않은가요?
또한 정의(정서)적이라는 것이 감정의 표현과 같은 심리적 반응이라고 생각했는데 청자의 태도를 고무,변경,교정한다는 것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