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응용, 서양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강효경
- 등록일
- 2020년 05월 15일 20시 12분
- 조회수
- 157
- 첨부파일
-
항상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
네스 질문입니다.
1) 심층생태주의 운동강령 중에 인간의 생활과 문화의 번성은 인구의 실질적 감소와 양립한다. 라는 말이 뭔가요? 인간의 문명이 인구의 실질적인 감소를 이끈다는것이 운동 강령인가요?
또, 이데올로기적 변화는 점증하는 생명의 높은 표준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다. 라는 말이 이래가 가질 않습니다...!
2) 심층생태주의 비판에서 생태계 안정 유지해야한다는 도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단순히 자연은 그 자체로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라는 사실만 기술해서 그런 것인가요? 아니면, 사실이서 당위를 함축하는 자연주의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인가요?
요나스 질문입니다.
1) 469페이지 원문에서 "책임의 윤리는 권리와 호혜성의 모든 이념과 상관이 없어야만 한다." 라는 말이 인간 중심적인 권리와 호혜성에서 벗어나라는 뜻인가요?
또, 1차적인 의무는 실존, 2차적인 의무는 본질에 대한 의무이다. 라는 말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미래의 인간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이념에 대해 책임을 진다 라는 말도 연관지어서 이해가 안갑니다....ㅠㅠㅠ 1차적인 의무가 실존에 대한 책임이라고 하는데 왜 이것이 아니라 인간의 이념에 대해 책임을 진다고 하는 것일까요?
2) 472페이지 첫 번째 원문 상자에서 가능성이라는 것이 무엇을 뜻하나요?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뜻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1명법의 정당화 논리에도 강의 시간에 책임의 주체 설명시에 말씀하셨던 칸트의 이야기가 사용되는건가요?
3) 472페이지 두 번째 상자 원문에 "존재가 선택과는 무관한 행위에 의존한다면 존재를 행위의 의무로 만든다." 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4) 강의 들을 때에 책임의 성격에서 당위에 대한 책임과 인과적 책임이 반대된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당위에 대한 책임이 인과적 책임을 포함하고 그 이상의 책임을 소유하는 것이 맞죠?
5) 테일러- 고유한 선이 목표에 도움을 주는 선이 아니라, 고유한 선 자체가 목적과 같은 말이죠?
6) 사형제도 응보적 관점 비판부분에 응보 욕구는 적극적으로 선이 악을 이김으로써 가능하다라는 말이서 선이 문명화된 마음 뭐 이런건강여?!
서양-밀
밀
쾌락의 질의 우열 기준은 도덕적 능력을 지니고, 양쪽 쾌락을 경험하였고 본성적으러 고귀한 것을 사랑하여 높은 질의 쾌락을 선호할 수 있는 사람의 선호입니다.
1) 이러한 능력을 지닌 사람이 곧 도덕적 주체인 공평무사하고 자비로운 관찰자라 보아도 무방하나요?
2) 또, 243페이지 교재에 사람이 도덕적의무를 행하고자 하는 궁극적 동기는 주관의 감정인 의무감이라고 되어있는데 도덕적 주체의 성격도 이러한 의무감에서 행하는 것인지, 능력이 있기 때문에 행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교재에 쾌락들 사이의 우열비교 기준이 되는 사람의 선호, 도덕적 주체의 성격, 제재이론에서의 도덕적 의무 행하고자 하는 동기 이렇게 따로 다 구분해서 봐야하는지 이 모든 것이 다 도덕적 주체인 것인지 헷갈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