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콜버그)

작성자
송미정
등록일
2020년 05월 17일 19시 54분
조회수
117
첨부파일
교과교육론 질문 있습니다. 1. 콜버그가 메타윤리학적 가정에서 가치중립성에 반대할때 자연주의, 정서주의를 예로 들었는데 자연주의는 사실판단과 도덕판단을 동일시한다. 따라서 도덕판단은 명령하고 의무적으로 행하게 하는 판단이 아니라는 결론인가요? 2. 그렇다면 정서주의는 도덕판단이 감정의 표명일 뿐이고, 이 또한 명령을 내포하지 않는 판단 이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래 정서주의에 반대한다는 내용에서 정서주의가 타인의 행동을 변형시키려는 명령문이다라고 말씀하셔서 명령과 규정성을 띄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3. 선험과 연역을 동일어로 해석해도되는지 질문입니다. 연역적 추론 과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것은 다른 것인지, 같은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4. 콜버그가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행동의 단선성을 주장하였는데 이때 단선적이라는 것은 바로 지식이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나요? 5. 그렇다면, 더 높은 단계의 도덕판단 즉 인습 이후수준에서는 더 실제행동과 판단이 잘 일치한다고 할 때 둘 사이의 간격을 인정하게 되는 것인데 모순된 주장 아닌가요? 전자는 전기 입장 후자는 후기 입장으로 봐야할지 질문드립니다. 6. 콜버그 실생활과 관련된 도덕적 딜레마토론과, 역할채택 기회 부여 관련하여 질문이있습니다. 정의공동체 접근법이 가상적 딜레마 제시를 넘어 사회적 참여와 역할채택의 경험 기회를 부여 한다는 부분에서 역할채택의 경험 기회란 것이 학교에서 역할채택을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 인지, 아니면 단지 실생활의 딜레마 상황을 제시해서 생각해보게 하는 것인지 혹은 둘다인가요? 7. 역할 채택은 3수준 6단계 모든 수준과 단계에서 일어나는 것인가요? 8. 콜버그 인습 수준 4단계가 사회적 의무를 수행함으로써 자기 존경과 양심을 보존하기에 옳은 행위를 하게 된다는데, 이 때의 존경, 양심 보존을 위해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것은 자율적인 도덕성인지, 타율적인 도덕성인지 질문드립니다. 9. 1) 이 4단계에서 익명적 존재들간에 협동이 가능한지, 2)그리고 사회정의와 공평성이라는 개념은 전체적 단계에 포괄되지만, 진정한의미의 사회정의와 공평성은 5,6단계에 해당되는지 질문드립니다.(레스트의 도덕심리학에서 콜버그 이론의 계승, 주 2번 내용보고 질문드려요) 10. 책임판단과 의무판단의 구분에서 개인적인 도덕적 가치에 대한 판단이 행동을 위한 기초로서 명백하게 사용될 경우가 책임판단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혹시 쉽게 풀어서 설명 가능할까요? 11. 도덕교육은 도덕적 가치 규범 등 부분적으로 교화해야한다는 콜버그의 후기 입장에서 이때 가르쳐지는 가치와 규범은 여전히 보편적인 도덕의 성격을 띄는 것인가요? 달리 말해 실질적 내용 또한 보편성을 띄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실정법이 자연법의 주석인 것처럼 그 구체적인 항목들은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처럼 보편적이라고 할 수는 없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 12. 콜버그의 정의공동체 접근법이 어떤 면에서 정서적관점까지 고려한건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