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5월 20일 15시 31분
조회수
20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경험해 보았고’에서 경험을 ‘직관적 체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2. ‘자신의 양심이 요구하는 것’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의무의 완전한 실천입니다. 키르케고르에 의하면, 기독교의 신, 즉 그리스도는 인간의 죄를 사하기 위해 인간의 몸을 입고 인간의 세계로 나온 신입니다. 이러한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은 그 자체 역설입니다. 즉, ‘시간 안에 들어온 영원하고 절대적인 존재, 시간 안에 태어나 자라고 자신이 창조한 인간의 죄를 사하기 위한 죽은 신이라는 것은 이성을 통해서는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역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은 역설입니다. 신앙은 합리성을 괄호치고 이러한 역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3. 순수실천이성에서 ‘순수’는 ‘경험에 물들지 않은’이라는 의미를 가진 용어이고, ‘실천이성’은 이성의 실천적 사용, 즉 실천 영역에서 작용하는 이성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 [김유민  회원님의 글] ▒▒▒▒▒▒ 1. 무어의 공리주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무어의 '선'의 성격 개념 교과서 251페이지 선의 성격 개념 두번째 단락에서 선은 비자연적인것이다. 여기서 비자연적이라 함은 시공간 안에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감각 경험을 통해 알려지지 않으며 ~ 라고 되어있고, 그 다음 페이지에 이어서 그렇기 때문에 선은 분석되어 정의될 수 없으며, 오직 그선을 경험해 보았고 상상할 수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만 사고되고 지각될 뿐이다. 라고 되어있는데요, 251페이지에서는 감각 경험을 통해 알려지지않았다고 되어있는데 어떻게 '경험해보았다' 라는 말이 나올수가 있는것인가요? 2. 키르케고르 교과서 292페이지 (2)윤리적 실존의 절망과 유머 에서 4번째 줄 내용 자신의 양심이 요구하는 것과~ 에서 양심이 요구하는 것은 자신의 힘으로 도덕적 존재로서의 자기 완성을 하는것이라고 보아도 되나요? 또, 내용 중 292페이지에 종교적 실존에 대한 설명에 보면, 마지막 단락에서 종교적 실존은 보편타당한 합리성에 따라 사는 존재가 아니라, 역설적인 절대자인 신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존재이다.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에서 신을 왜 역설적인 절대자라고 하나요? 3. 칸트 질문입니다. 칸트 교과서에서 210페이지 '순수실천이성' 이라는 표현은 순수(=경험에 물들지 않은) 이라는 의미에서 순수실천이성인가요? 아니면 칸트는 이성을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의 두가지로 나누어서 보고있는것인가요?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