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노유리
- 등록일
- 2020년 05월 20일 22시 27분
- 조회수
- 92
- 첨부파일
-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1. 아뢰야식은 진망화합식입니다. 1-2월 교재 p.632에서 깨달음과 미혹이라는 두 측면을 지닌 한 마음을 진망화합식이다 라고 하셨는데 일심 자체를 진망화합식이라고 볼 수 있나요?
일심에도 진여문이라는 자성청정한 부분과 깨달음과 미혹이 섞인 생멸문이 존재하잖아요 마음 자체가 식이고 이러한 일심에도 깨달음과 미혹이라는 두 측면이 존재하는데 진망화합식이라고 부를 수는 없는건가요?
2. 지눌의 정혜쌍수는 정은 혜의 체이고 혜는 정의 용이므로 함께 닦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근데 지눌은 인간의 근기는 일정하지 않기 떄문에 계정혜를 단계적으로 닦어야 한다는 신수의 입장을 포용했잖아요 왜 수상삼학을 이야기 하면서 정혜쌍수에서는 함께 닦아야 한다고 했을까요...(결국에는 근기가 일정해지면 최종단계가 자성삼학이니까 함께 닦는 것일까요?)
3. 로크의 자연권 부분포기가 나와 타인의 자연권을 더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권리 자연법을 위반한 한 자에 대한 집행권 등의 일부권한을 포기한다는 말이잖아요 그렇다면 자연적 권력을 포기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자연적 권력도 자연권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걸까요? 자연적 권력과 자연권의 관계가 뭘까요?
4. 루소 일반의지 질문입니다.
나의 의지는 자유의지이고 자유의지는 일반의지와 개별의지 혹은 특수의지 사이의 선택할 수 있기에 자유의지라고 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일반의지= 공동체의 공공선을 지향하는 의지
개별의지,특수의지= 사익을 추구하는 의지
전체의지= 개별의지 특수의지들의 총합
(1) 먼저 제가 알고 있는 의지를 정리했을 때 저게 맞는건가요?
(2) 일반의지는 개인이 가진 사적 의지중 일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의지를 따른다는 것은 자신의 자유의지를 따른다는 것이다. 이 말에서 사적의지는 개별의지 혹은 특수의지 인가요?
그렇다면 사적의지 안에 마치 일반의지가 있는 것 같은데 나의 의지에는 일반의지와 사적 의지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요? 저 문장이 이해가 안갑니다.
5. 박효종 민주주의와 권위 프린트 p.31 에서 규범론적 계약에 이상적 조건을 갖춘 계약자 들이 체결하게 되는 이상적 계약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계약자들이 어떠한 이상적인 조건을 갖는건가요? 이상적 계약은 무엇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