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정치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5월 27일 11시 44분
- 조회수
- 21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플라톤
1. 자신의 성향에 부합하는 일을 알맞은 때와 장소에서 훌륭하게 해 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2. 통치자의 지혜입니다. 혼합된 덕에서 혼합은 통치자의 지혜와 기개의 혼합이고, 그렇게 혼합되어 형성되는 덕이 용기입니다.
3. 네.
4. 일반적으로 혼합정은 여러 정체의 장점이 공정한 법률을 통해 조화롭게 통합되어 운영되는 정체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1. ‘다른 경우 부분이 전체에 대해 갖는 관계’란 인용문에 언급되어 있는 ‘죽은 손과 발이 몸에 대해 갖는 관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고립되어 자급자족하지 못하면 개인은 전체에 대해 다른 경우 부분이 전체에 대해 갖는 관계를 맺을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말은 ‘고립되어 자급자족하지 못하면 개인은 전체에 대해 마치 죽은 손과 발이 몸에 대해 갖는 그러한 관계를 맺을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말입니다.
2. 국가가 제공하는 이익이란 공공의 이익(공공선)이고, 공공의 이익이란 본질적으로 국가의 목표, 즉 자급자족과 행복한 삶입니다.
3. 민주정과 과두정의 장점이 조화롭게 통합되어 있는 것이 혼합정입니다. 따라서 혼합정은 민주정의 좋은 제도와 과두정의 좋은 제도가 조화롭게 통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혼합정에서는 민주정의 정신에 따라 모든 자유민이 경제적 처지와는 상관없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혹은 공직에 취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하지만 공직은 추첨이 아니라 능력 있는 사람에게 부여된다는 점에서 공직 임명과 관련하여 혼합정은 과두정의 정신에 따라 운영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와 같은 혼합정이 온전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국정의 주도권이 가장 공정한 계급, 즉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중간계급에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4. 네.
▒▒▒▒▒▒ [강효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정치 질문입니다!
플라톤
1) p.13 원문 맨 마지막에 “한 사람이 한 가지 일을 성향에 따라 적기에 하되, 다른 일들에 대해서는 한가로이 대할 때에 있어서이네.” 이 부분이 매끄럽게 해석이 안 됩니다. 성향에 따라 적기에 하되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2) 보조하는 부분의 덕인 용기가 통치자의 명령에 다라 내외의 적에 맞서 굳건하게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혜와 혼합된 덕 이 부분에서 지헤가 통치자의 지헤인 것인지, 통치자의 지혜에 따라 알게된 보조자의 지혜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혼합된 덕이 한 개인에게 있어서 두 개의 덕이 혼합되었다는 뜻인 것 같은데 통치자의 지혜가 혼합되었다면 개인에게는 그 자체로 혼합된 덕이라고 할 수 없지 않나요?
3) 최선자와 철인은 동일한 말인가요?
4) 플라톤만의 질문은 아닌데 전체적으로 혼합정체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서 정확히 이해가 안갑니다. 정치체제가 혼합되었다는 것은 알겠는데, 실제로 민주정도 하고 군주정도 하고 이런 것은 불가능하지 않나요...? 그 좋은 점들만 뽑아서 혼합했다는 뜻인가요? 예를 들면, 군주가 다스리지만 어떤 한 부분에 대해서는 시민들도 정치에 참여했다 이런 식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아리스토텔레스
1) p.24 “왜냐하면 고립되어 자급자족하지 못하면 개인은 전체에 대해 다른 경우 부분이 전체에 대해 갖는 관계를 맺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말이 무슨 뜻인가요? 개인이 전체의 본성과 맞지 않는다면 부분이 전체에 대해 갖는 관계를 맺을 것이다 라는 말 같은데 “전체에 대해 갖는 관계”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2) p.26 원문 마지막 부분에 국가가 제공하는 이익이 정치참여를 뜻하는 것 인가요?
3) 민주정체의 장점과 과두정체의 장점이 혼합되었다는 것이, 정체 시스템이 혼합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민주정체의 운영계급 -> 모든 사람,(대부분 가난한 사람), 과두정체의 운영계급 -> 부자 의 중간점, 중간계급이 운영되어야 함을 말하는 것이 혼합되었다고 하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중간계급으로 운영이 되는 것인데 다수의 집단적 지혜와 능력 있는 소수의 결합은 결국, 부자와 빈민도 다 참여하는 정치를 말하는 것인가요?
메커니즘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4) 민주정체가 모든 시민이 동등하게 참여하는 정체이지만, 다수가 가난한 사람들이므로 가난한 자들의 결정이 권력이 된다는 것이죠?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