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노유리
- 등록일
- 2020년 06월 28일 15시 36분
- 조회수
- 109
- 첨부파일
-
1. 레스트
레스트가 자신이 이해하는 최고 단계를 선호하며, 자신의 발달 순서상의 보다 높은 진술을 선호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이 잘 연결이 안되서요 ㅜㅜㅜ
레스트는 발달 단계의 사고가 중첩되어 나타나 있으므로 만약 예를 들면 134단계에 해당된다면 4단계를 선호한다는 건가요? / 근데 뒷 문장에서 보다 높은 진술을 선호한다면 그렇다면 5,6단계를 선호하는 건가요?
레스트가 134 단계라면 사람들이 4단계에 해당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5단계 이상을 선호하는 것인가요?
2. 블라지
(1) 도덕적 자아모델에서의 도덕적 자기일치의 욕구(선천적인 자기 일치의 욕구가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면서 후천적으로 형성된 것)과 도덕적 인격모델에서의 도덕적 의지가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둘이 전기 입장 후기 입장에서 쓰이는 용어 이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2) 블라지가 왜 도덕적 자아모델에서 도덕적 인격모델은 제시한것인가요?
찾아보기로는 도덕적 이해는 객관적인것에 비해 자아는 주관적이라서 주관과 객관 사이의 긴장으로 인해 도덕적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자유의지를 좀 더 강조하는 도덕적 인격모델을 제시했다고 나와있는데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왜 다시 인격 모델을 제시한 것일까요?
(3) 무엇보다 도덕적 인격과 도덕적 정체성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도덕적 인격의 심리적 토대가 도덕적 정체성이기에 도덕적 인격이 좀 더 큰 개념인 것 같은데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3. 콜버그
2009년 기출에서 정의 공동체 도덕교육 접근법의 목적으로 3번 교사가 학생들에게 도덕적 직관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덕적 직관이 아니라 도덕적 추론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왜 도덕적 직관일까요? (추론과 직관은 아예 다른거 아닌가요?)
4. 나바에즈
(1) 윤리적 전문가의 마음 구조= 도덕 스키마, 도덕 스키마를 윤리적 기술로 구체화하였다는 것은, 윤리적 기술의 각 영역도 도덕적 행동이 일어나게 되는 하나의 심리적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인가요?
(2) 삼층윤리가 윤리적 동기의 원천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활용한 메타이론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서의 윤리적 동기가 윤리적 기술의 윤리적 동기랑 다른 것인건가요?
5. 튜리엘
사회 인습적 추론 발달 단계는 연령별로 1~7단계 제시되어 있는데 도덕적 영역에서의 발달 단계는 왜 제시되어 있지 않는 건가요?? 튜리엘에게 도덕적 발달은 개인이 직접 성인의 지시와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도덕적 정합성 여부를 추론하여 서로 각자 다른 판단을 하는 것이라 하였는데 그렇다면 연령에 따라서 발달한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