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강의질문 2
- 작성자
- 송미정
- 등록일
- 2020년 06월 29일 17시 44분
- 조회수
- 98
- 첨부파일
-
교과교육론 8주차 질문드립니다.
질문 양이 많아 글을 나눠 올리게 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데이먼 자아의 유형 네가지는 다차원적성격을 지닌다고하는데 이때 발달이 신체적 자아 → 활동적 자아 → 사회적 자아 → 심리적 자아 순서 맞나요? 그리고 다차원적인 성격을 지닌다는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2. 청소년은 타인의 기대 수준, 의견, 평판에 민감하며, 자신에 대한 평판에서 도덕적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따라서 타인의 복리에 대한 책임감을 가진다고 하는데 이 특징은 심리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 모두를 가르키는 것인가요?
3. 내러티브접근도 인지적 측면을 발달시키는 접근 맞나요? 맞다면 어떤 점에서 인지적 측면을 발달 시키는건가요? 그 이야기를 통해 갈등상황이 무엇이고, 요구되는 가치가 무엇인지 알수있는 도덕적 사고력 정도인가요?
4. 배려윤리 길리건은 인지 + 정의적 측면까지 고려하고, 나딩스는 정의적 측면만을 고려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5. 사회행위학습을 위한 코스(사회행위모형의 절차)가 적힌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인지
아니면 복합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6.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개인차 고려한 교수학습 유의사항에서 적절한 학습과제란 개별적으로 다른 학습과제를 말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7. 6번 질문과 비슷한 맥락인 것 같은데요. 수행평가의 장점이 도덕과 평가방식의 다양화라고 하는데요 이때 학생들마다의 상이한 능력, 학습 양식, 문화적 배경에 부합하는 적절한 평가방식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평가가 해당할까요? 포트폴리오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그런데 문화적배경의 예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8. 수행평가가 학생중심의 교실을 만들어내는 것과 관련있다고 하는데 어떤 점에서 학생중심인지 궁금합니다.
9. 수행평가도 교수학습활동이자 평가라고 할 수 있나요?
10. 그러면 메타욕구인 자아실현욕구는 기본욕구보다는 위계가 높다로 이해하면 되나요?
강의 종강까지 너무 고생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