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 질문입니다.

작성자
강효경
등록일
2020년 06월 30일 13시 55분
조회수
82
첨부파일
질문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역할채택 1) 역할채택 부분 중에서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 "주체로서의 발견"이라는 개념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미드 부분에서 개인은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의 입장" 에서 벗어나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객체의 입장"이된다는 문장에서,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 가 일반화된 타자의 입장까지는 아닌 단순히 타자의 입장의 역할에서는 개인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 맞나요? 또 프뢰벨의 부분에서 자아가 타인을 객체로 볼뿐만 아니라 주체로서 보는 발견 이 부분에서는 타인 역시 자신의 입장이 있는 주체로 본다는 것일까요? 2) 콜버그의 역할채택은 모든 사람들과 입장을 바꾸어 놓고 그들의 입장에서 해결책을 얻는 것인데, 이상적인 역할채택은 이 입장을 6단계인 정의를 중심으로 한 판단이 결국 모든 사람들의 입장에서 해결책을 얻는 것과 같다는 말인건가요? 3) 셰이버의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에서 "차원적 범주"라는 말이 감이 잘 안옵니다..ㅠ 찾아봐도 명확히 나오는 곳이 없어서요.. 설명을 조금 부탁드려도 될까요? 4) 저번에도 드렸던 질문인데, 영역이론가들의 인지발달론에 대한 비판 부분에서 교재 90쪽 "인간의 도덕적 성숙에 미치는 사회적 인습의 영향을 경시하는입장이다." 이 문장 질문입니다. 영역이론가들은 인습은 도덕과 무관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인습적 추론발달을 도덕발달에 종속시킨 인지발달론을 비판하였습니다. 그런데 저 문장은 마치 인간의 "도덕적 성숙" 즉, 도덕적 발달에 미치는 "사회적 인습의 영향" 을 경시한다고 나타내어 도덕적 발달에 사회적 인습도 영향을 주고 있다라는 듯한 뉘앙스의 문장이 풍겨서 계속 혼란스럽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