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7월 01일 13시 12분
조회수
24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미드가 말한 ‘타인의 관찰하는 주체’란 놀이 단계와 게임 단계에서 놀이에 참여하는 특정한 타인 혹은 조직된 활동에 참여하는 몇몇의 타인을 관찰하고 그들을 역할을 채택하는 주체를 일컫는 것이고,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객체’란 일반화된 타인의 입장에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을 일컫는 것입니다. 자아가 타인을 객체로 볼 뿐만 아니라 주체로서 본다는 것은 자아가 타인을 자기 자신과는 다른 육체적이고 심리적 특성을 지닌 주체, 그래서 자신과는 상이한 관점을 소유하고 있는 존재로 자각한다는 말입니다. 2. 이상적 역할채택은 인간 존중과 공정의 본지로 하는 정의의 원리에 따라 의사 결정하는 절차로서, 이는 정의의 원리에 따라 모든 사람의 관점을 통합, 조정하여 의사 결정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가치가 차원적 범주의 것’이라는 말은 가치는 좋음과 나쁨, 옳음과 그름, 칭찬과 비난의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라는 말입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덕교육의 6가지 모형(허쉬, 밀러, 필딩 저, 역락)’이라는 저서에 서술되어 있는 예를 인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노력과 책임에 대하여 예를 들어보자. 노력과 책임은 확실히 전부 아니면 전무의 범주들이 아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을 전적으로 책임성 있다거나 또는 완전히 게으르다고는 좀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들의 행동은 책임을 짐-무책임함, 또는 근면함-게으름이라는 연속선을 따라 드리워진다. 가치란 진가의 연속선을 따라 행동이나 대상을 평가하기 위한 규칙들의 세트인 셈이다.” 4. “인지발달론자들은 사회 인습적 추론 발달을 도덕 발달에 종속시킴으로써, 사회 인습적 추론 발달이 도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고 있는다는 것이 비판의 핵심입니다.”가 지난 번 답변의 내용이었는데, 이를 수정하고자 합니다. ‘인간의 도덕적 성숙에 미치는 사회적 인습의 영향을 경시하는 입장이다.’라는 문장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습니다.(제 생각에 다음과 같이 해석하지 않으면, 말씀하신 대로 사회영역이론의 핵심 입장과 문장의 내용 사이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우선 이 문장에서 ‘인간의 도덕적 성숙’을 ‘인간의 도덕적 추론 발달’이 아니라 ‘도덕적으로 성숙한 인간이 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그런데 높은 도덕적 추론 능력을 소유할 뿐만 아니라 동료들과 원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의 인습적 규칙을 잘 이해하여 체득하고 있는 사람을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이라 할 수 있으므로,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높은 사회인습적 추론 능력 또한 소유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도덕 발달 과정에서 사회적 인습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간주하는 인지발달론은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이 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인습이 미치는 영향을 경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비판은 정당한 비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강효경 회원님의 글] ▒▒▒▒▒▒ 질문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역할채택 1) 역할채택 부분 중에서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 "주체로서의 발견"이라는 개념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미드 부분에서 개인은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의 입장" 에서 벗어나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객체의 입장"이된다는 문장에서, "타인을 관찰하는 주체" 가 일반화된 타자의 입장까지는 아닌 단순히 타자의 입장의 역할에서는 개인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 맞나요? 또 프뢰벨의 부분에서 자아가 타인을 객체로 볼뿐만 아니라 주체로서 보는 발견 이 부분에서는 타인 역시 자신의 입장이 있는 주체로 본다는 것일까요? 2) 콜버그의 역할채택은 모든 사람들과 입장을 바꾸어 놓고 그들의 입장에서 해결책을 얻는 것인데, 이상적인 역할채택은 이 입장을 6단계인 정의를 중심으로 한 판단이 결국 모든 사람들의 입장에서 해결책을 얻는 것과 같다는 말인건가요? 3) 셰이버의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에서 "차원적 범주"라는 말이 감이 잘 안옵니다..ㅠ 찾아봐도 명확히 나오는 곳이 없어서요.. 설명을 조금 부탁드려도 될까요? 4) 저번에도 드렸던 질문인데, 영역이론가들의 인지발달론에 대한 비판 부분에서 교재 90쪽 "인간의 도덕적 성숙에 미치는 사회적 인습의 영향을 경시하는입장이다." 이 문장 질문입니다. 영역이론가들은 인습은 도덕과 무관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인습적 추론발달을 도덕발달에 종속시킨 인지발달론을 비판하였습니다. 그런데 저 문장은 마치 인간의 "도덕적 성숙" 즉, 도덕적 발달에 미치는 "사회적 인습의 영향" 을 경시한다고 나타내어 도덕적 발달에 사회적 인습도 영향을 주고 있다라는 듯한 뉘앙스의 문장이 풍겨서 계속 혼란스럽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