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 반두라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7월 13일 21시 28분
- 조회수
- 22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반두라의 상호결정론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 작용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인간 발달이 일어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반두라의 상호결정론은 인간 발달의 메커니즘을 설명한 이론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2. “환경은 매개적인 인지적 과정에 의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말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전통적 행동주의는 환경의 특성이 행동의 유형과 성격을 전적으로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에 반두라는 환경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관찰, 분석하여 행동의 결과를 예측하는 인지 작용의 매개로 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여기서 외부 환경의 영향을 관찰하는 것과 관찰학습은 동일한 것이 아닙니다. 관찰학습은 도덕적 행동을 학습하는 방식이고, 외부 환경의 영향을 관찰한다는 것은 인간이 환경 속에서 행동할 때 개입하는 인지 작용의 특성을 일컫는 것입니다.
사고는 개인이 지닌 인지 능력을 말하는 것이고, 자기 평가 반응은 말씀하신 반응을 일컫는 것입니다.
3. 개인은 인지 능력을 발휘하여 외부 환경을 관찰, 분석하여 미래 예측을 이끌어 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환경에 선제적으로 작용을 가함으로써 현재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즉 미래 환경을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존재입니다.
4. 인간은 인지 능력을 소유하고 있고, 인지 능력의 주요 역할은 주어진 정보를 토대로 추론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인지 능력을 통해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분석하여 그것을 토대로 추론함으로써 자신의 행위가 환경에서 발생시킬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인지 능력을 활용하여 행동의 결과를 예견한다는 말의 의미는 이것입니다.
환경을 조작한다는 말은 행위 결과에 대한 예측에 기반하여 선제적으로 환경에 작용을 가한다는 말입니다.
▒▒▒▒▒▒ [김유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과교육 반두라 질문이 있어 글 올립니다.
1) 상호결정론은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행동이 결합해 작용하는 과정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를 자기규제 매커니즘 발달과정으로 보아도 되나요?
2) 반두라 교과서 35쪽 맨 마지막줄에서 환경은 매개적인 인지적 과정에 의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사고와 행동은 자기 규제적 기능을 수행하는 자기 평가 반응들을 만들어 낸다.
- 매개적인 인지적 과정이 인지적 능력을 활용하여 외부 환경 영향을 관찰, 분석한다는 내용인가요? 그리고 외부 환경 영향을 관찰할 때 사용되는 것이 관찰학습의 과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사고와 행동에서 사고는 개인(P)로 보면 되는것인가요?
- 자기 평가 반응은 도덕적 정서인 자기 존중감과 자기 비판적 반응으로 보면 되나요?
3) 반두라 36페이지 두번째 문단에서 개인 서술이 '인지 과정과 자기 강화의 방법으로 자신의 행위를 규제함으로써 미래의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이라고 되어있는데, 개인은 왜 미래 환경에 영향을 주나요 ??
4) 36페이지 위에서 7번째 줄에서, 인지 능력을 활용하여 ~ 행동의 결과를 예견한다고 했는데요, 행동의 결과를 예견한다는 말은 자신 인지 능력을 활용해서 외부 환경 영향을 관찰, 분석하는 자기규제 매커니즘에서 주요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두 도덕적 정서들을 예견함으로써 행동의 결과를 예견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행동의 결과를 예견하여, 환경을 조작하는 합리적인 존재라고했는데, 환경을 조작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항상좋은수업감사합니다 . ㅜㅜ!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