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서양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강효경
- 등록일
- 2020년 08월 11일 14시 36분
- 조회수
- 106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
문풀을 풀어보면서 복습을 하고 있는데, 헷갈리는 점들이 있어 질문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
1) 교재 58페이지에 좋은 숙고란 지적인 탁월성의 한 종류라고 되어 있습니다. 지적인 탁월성은 학문적 인식, 직관적 지성, 철학적 지혜, 기예, 실천적 지혜로 5가지 인데 학문적 인식부분이 아닌 기예와 실천적 지혜가 발휘될 때 드러나는 한 부류?로 이해하면 될까요?
더불어 학문적 인식 부분은 "숙고"가 아닌 "직관" 혹은 "인식"인 것이 맞죠?
2) 품성상태를 "덕 - 자제력 있음 - 자제력 없음 - 무절제 - 짐승같은 품성상태"로 구분할 때, 덕이 아닌 것, 즉, 자제력있음~짐승같은품성상태까지 모두 악덕이라고 지칭해도 되나요?
3) 교재 76페이지 원문에 "그런데 선택에 의하여 행하지 않는 사람들 중 한편은 즐거움 때문에 이끌리고, 다른 편은 충족되지 않는 욕망으로부터 나오는 고통을 피하려 하기 때문에 이끌린다." 이 부분에서, 합리적 선택에 의하여 행하지 않는 사람들 중에서도 또, 즐거움 때문에 이끌린다는 것은 무절제한 사람이라는 것인가요? 무절제한 사람은 합리적 선택에 의하여 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 부분이 헷갈립니다.
칸트
이성과 의지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인간은 자유롭기 때문에 도덕법칙을 입법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천이성이 도덕법칙을 만드는 것 자체"가 인간이 의지의 자율, 즉, 자유로운 존재이기에 가능한건가요? 아니면 실천이성은 의지의 자율과 상관없이 도덕법칙을 만들었고 "실천이성이 만든 도덕법칙을 나의 의지의 준칙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인간이 자유롭다는 것인지 헷갈립니다. 강의 시간에 이성와 자유는 포함관계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저 부분이 너무 헷갈립니다.
실천이성이 도덕법칙을 만드는 것 자체가 인간이 자유롭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지,
의지의 영역과 관계없이 실천이성은 도덕법칙을 만들지만, 그것을 우리의 의지의 준칙으로 수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밀
1) 인간의 본성을 말하라고 할 때, 인간은 1. 본성적으로 고귀한 것을 사랑하는 존재, 2. 사회적 존재로 사회적감정을 지닌 존재 + 여기에 도덕적으로 잘 자란다면 정신적이고 도덕적인 능력을 행할 수 있는 존재 이 3가지를 언급해도 될까요?
2) 도덕적 의무를 행하고자하는 궁극적 동기는 의무감이라는 것인데, 밀의 지문에 보면 결과주의를 말할 때, 행동 중 99프로는 의무감이 아닌 다른 동기를 가지고 행하는 것이다 라는 내용과 잘 연결이 안됩니다. 그냥 단순히 따로, 인간이 공리의 원리를 행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동기는 내적제재인 의무감이고, 행위의 도덕성은 동기가 아닌 결과로 판단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선호공리주의
248페이지 사람마다 선호가 다르므로 선호를 도덕의 보편적 기준으로 삼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말이 조금 헷갈립니다. 애초에 선호공리주의는 선호 자체를 보편적기준으로 삼는다는 것이 아니라 최대의 선호를 가져오는 행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닌가요?
키르케고르
키르케고르가 최초의 죄인 아담의 죄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무"는 실존에 관한 존재론적인 무지를 뜻하는 것인데 이것을 미래에 대한 무지라고 표현이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무지란 할 수 있는 가능성 자체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 자유 자체가 무엇인지 모르는 "무"가 아닌가요? 교재 285페이지 "무"에 관련한 지문을 읽으면 가능성 자체가 "무"라고 표현이 되어 있는데 미래에 대한 무지가 이와 같은 말인지가 궁금합니다. 미래에 대한 무지가 원문의 표현인가요?
야스퍼스
실존을 위한 사랑의 투쟁에서, 사랑 즉 , 자타실존의 협동인 실존과의 사귐 자체가 "투쟁"이라는 것이죠? 서로 실존의식을 갖은 채 사랑한다는 것이 곧 "투쟁"인 것이 맞나요?
존듀이
낙천주의와 염세주의는 공감적통찰과 개혁의 지적 노력을 똑같이 마비시킨다는 비판 중에서 낙천주의는 사람들의 불행에 대한 공감적 통찰을 마비시킨다는 것은 알겠는데, 염세주의에서는 어떤 공감적 통찰을 마비시킨다는 것인가요?
한 번에 올리다보니 질문이 많습니다ㅠ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