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하버마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8월 11일 21시 02분
- 조회수
- 11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의사소통 구조가 힘의 역학 관계로 인해 왜곡되어 있는 상태는 의사소통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타당성 요구를 제기할 수 없는 상태이자, 설령 타당성 요구가 제기된다 할지라도 자유롭고 평등한 상태에서 오직 합리적 담론의 힘만으로 그것을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가상적으로 검증된다’라는 말의 의미가 이것입니다.
▒▒▒▒▒▒ [이혜주 회원님의 글] ▒▒▒▒▒▒
정치사회사상 291p. 교재 원문 중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란 상호 작용의 구조 안에 무의식적으로 짜여 있는 역학관계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여기서의 합리화란 대화자 상호 간에 문제가 된 타당성 요구들이 다만 가상적으로만 검증되고 있는 구조적으로 왜곡된 의사소통의 상황을 극복하는 것을 뜻한다.” 라는 구절에서
‘타당성 요구들이 다만 가상적으로만 검증되고 있는’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4가지 보편적인 타당성 요구의 개념이 존재하지만 의사소통 내 역학 관계로 인해
의사소통 상황에서 그것이 현실적으로 제기될 수 없음을 뜻하는 바가 맞나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