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질문입니다

작성자
강효경
등록일
2020년 08월 24일 20시 50분
조회수
81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칸트 1.자율의 정식 이성적 존재의 의지는 '보편적으로 법칙 수립하는 의지로서의 이성적 존재자의 의지' 이다. 이 부분에서 보편적으로 법칙 수립한다는 것은 실천이성이 만든 법칙을 자신의 의지로 수립한다는 것인가요? 마치 의지가 보편법칙을 입법한다고 느껴져서 혼란스럽습니다. 입법과 수립은 서로 다른 말이 맞나요? 도덕법칙은 감각적 충동과 경향성에서 독립하여 입법된다. 즉 도덕법칙은 입법적 자유의지의 소산이며, 의지의 자율을 유일한 원리로 한다. 이 부분에서 도덕법칙은 실천이성이 입법하는 것인데 왜 자유의지의 소산이 되는 것인가요? 요약하자면, "인간은 자유로운 도덕법칙 수립자" 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과 의지의 역할이 구분이 안됩니다. 도덕법칙을 수립하는 것은 실천이성인데, 의지 또한 보편적 법칙 수립으로서의 의지 라는 개념이 혼동됩니다. 따라서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녔기 때문에 이성으로 도덕법칙을 입법할 수 있다는 것인지(이렇게 보면 결국 도덕법칙 입법자는 이성이 아닌 의지가 되는 것 같아요ㅠㅠ), 이성은 도덕법칙 입법의 역할을 하고 의지는 그것에 따른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보편적으로 법칙 수립하는 의지" 즉, 의지의 역할이 도대체 무엇인가요ㅠㅠ 제 이해가 어디서부턴가 잘못되어있는 것 같은데 어떤 책을 읽어봐도 도저히 답이 나오질 않습니다ㅠ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