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8월 26일 20시 04분
조회수
19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역할채택과 입장채택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두 개념입니다. 2. ‘교실 상황 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방법’이라는 언급을 통해 해당 문제가 리코나와 관련된 문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마키아벨리는 고대 로마의 공화주의의 정신을 계승하였습니다. 그래서 키케로의 공화주의와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 사이에 상당히 많은 유사점이 존재합니다. 4. 예시답안과 같이 서술하든지 아니면 다음과 같이 서술하셔야 합니다. ‘자연인은 ‘일인 혹은 하나의 합의체’에 자신의 모든 권한을 전면적으로 양도하여 주권자인 일인 혹은 한 합의체가 주권을 전면적으로 행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인 혹은 한 합의체 이외의 그 어떤 주체는 주권을 나누어 행사할 수 없고, 일인 혹은 한 합의체는 그 누구에게도 양도받은 권한을 양도할 수 없다.’ ▒▒▒▒▒▒ [남지호  회원님의 글] ▒▒▒▒▒▒ 질문이 많은데 여러 과목이 섞여있어서 한 게시글에 몰아서 질문드리는 점 양해드립니다.. 1. 교과 교육론에 역할채택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입장채택'이랑 차이가 있는지 질문드립니다. 역할채택이랑 입장채택이라는 용어를 혼용해서 써도 될까요? 2. 기출문제반 p.759에서 인격발달과 인지발달의 통합은 리코나 말고도 피터스나 구성주의의 태펀의 입장에서도 적용 될수 있는데 이 문제의 정답이 리코나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발문에서 '교실상황 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도덕교육방법'의 내용이 리코나 밖에 없어서 그런건가요...? 7-8월 문제풀이 반에서 3. 키케로와 마키아벨리의 공화정 내용이 거의 같아보이는데 같게 보아도 될까요? 4.홉스문제 11번 에서 제가 이해한 바로는 1)주권을 A에게 주고 맘에 안들면 뺏어서 다른사람한테 주는것 - 주권자의 권리가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이기 때문에 안됨 2)주권을 양도받은 A도 다른 사람한테 주거나 나눠가질 수 없음 - 계약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안됨 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11번 문제에서 주권이 양도되거나 분할될 수 없는 이유를 주권자가 계약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써도 되나요? 항상 좋은 수업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