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튜리엘, 길리건, 호프만 관련 질의
- 작성자
- 조서영
- 등록일
- 2020년 08월 27일 22시 18분
- 조회수
- 88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우선, 튜리엘 학습포인트를 작성하던 중 의문점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튜리엘에 관련하여 3가지 질문드립니다.
1) 도덕 교육의 목적과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덕 수업에서 교사의 주요 역할을 서술하시오?(학습포인트)
저는 위 질문에 대한 답을 '도덕 교사는 도덕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도덕적 판단의 구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회적 인습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취하도록 도와줘야한다.'고 작성하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작성한 답에는 도덕 교육의 목적이 적혀있지 않고 도덕 수업에서 교사의 주요 역할만 적혀있기에 좀 부족한 답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튜리엘의 도덕 교육 목적을 아무리 찾아봐도 분명하게 모르겠습니다. 이에 도덕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2) 개인이 문화적 사회적 상황내에서 사회화를 통해 도덕성을 갖추게 된다는 도덕 교육적 입장에 튜리엘이 반대하는 이유를 서술하시오.(학습포인트)
저는 위 질문에 답을 '한 문화의 가치 체제가 성인의 권위를 통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그 이유는 아동들이 권위자의 지식에 의거하여 도덕 판단을 내리기 보다 권위자의 지시의 도덕적 적합성에 관한 그들 나름의 추론을 토대로 권위에 대해 다른 판단을 내리기 때문이다.'라고 작성했습니다. 이 답변이 옳은 답변인지 확실하지 않아 한번 확인해주셨으면 합니다.
3) 튜리엘은 전통적 인격교육적 관점과 인지발달론적 관점에서 나온 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해야함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누치의는 전통적 인격교육론과 인지발달론에 대해 비판했습니다. 그렇다면 누치의는 튜리엘의 입장에 반대한 인물이라 봐도 무방한가요? (* 위 질문은 학습포인트 아닙니다.)
두번째, 길리건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4) 길리건은 두 도덕적 목소리가 정반대가 아니며 관련되면서 독립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길리건의 비판점으로 '도덕적 영역을 따뜻한 배려나 사랑과 같은 영역으로 축소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냉정한 합리성을 도덕에서 배제하는 것은 그릇된 해석이다.'가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길리건은 정의와 더불어 배려의 윤리도 중요하다고 말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배려의 윤리와 정의의 윤리 모두 중요하다고 말한 것인데 비판점과 모순(배려의 윤리만 강조했다.)된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호프만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5) 호프만의 공감이론과 흄의 공감 개념은 정확히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 건가요?
이상으로 질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