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벌린의 적극적 자유 비판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양수빈
- 등록일
- 2020년 08월 29일 17시 59분
- 조회수
- 94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듣고 이해되지 않는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벌린의 적극적 자유 비판 중에서 '적극적 자유의 관념을 견지할 경우 필연적으로 자기부정(내면으로의 후퇴)이 발생한다'는 비판과 그 예시로 스토아 학파를 제시한 벌린의 입장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민주주의 파트에서 적극적 자유는 자신의 목적 실현을 위해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이러한 목적 달성에 이바지해주는 한에서 국가의 개입 역시 허용한다는 입장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1. 스토아학파는 엄연히 말하자면 소극적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요? 부동심을 이루기 위해 정념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니까요
2. 적극적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도움을 이용하여 자신의 권리의 행사를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이러한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이 외부적 힘의 개입을 간섭이라 여기고 노예적 상태에 빠지는 것이 가능한가요?
답변 미리 감사드리고, 평안한 하루 되세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