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레스트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13시 42분
- 조회수
- 32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레스트가 콜버그의 단계 개념 대신 피아제의 스키마 개념을 차용한 이유는 도덕 발달에 대한 콜버그의 관점, 달리 말해서 인지 구조의 유형에 대한 콜버그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 사이에 중요한 차이점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였습니다. 말씀하신 4가지는 그러한 중요한 차이점을 서술한 것입니다.
2. ‘미쉘의 자아 관련과 관련된 실행’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기억이 없습니다. 레스트에 의하면, 제4요는 인내, 자아강도, 수행 기술이라는 세 하위 요소를 구성됩니다. 이러한 제4요소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레스트가 활용한 이론 중 하나가 자아 강도와 자기 규제 이론이라는 미쉘의 교육학 이론입니다.
3. 첫째, 레스트는 도덕적 행동이 도덕교육의 최종 목표라면 도덕교육은 도덕판단 외에 인간 심리기능의 다른 부분들이 도덕 영역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수용하면서 도덕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관점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려 주고 있다.
둘째, 레스트는 인지와 정서 각각의 독립성을 전제로 도덕 발달 연구와 도덕교육을 주창하는 입장의 한계를 명확하게 지적해 주고 있다. - 정창우(2020),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76~77쪽
▒▒▒▒▒▒ [조서영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레스트를 공부하는 중에 의문점이 있어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1)레스트가 콜버그의 단계 개념 대신 스키마를 사용한 이유가 총 4가지가 있었습니다. 그 중 '인지 구조를 정의 조작과 같은 측면에서 정의하지 않는다.'라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 이유가 스키마를 사용한 이유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2)강의에서 레스트의 4구성요소 중 '제 4요소:도덕적 품성'의 도덕 교육 방법으로 미쉘의 자아관념 괄련된 실행을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아직 공부가 부족하여 미쉘의 자아관념 관련된 실행이 무엇인지 잘 몰라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3) 혹시 레스트의 이론은 어떤 도덕교육의 시사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항상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