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불교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9월 09일 12시 24분
조회수
13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무명이란 불교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여 미혹 망념의 사로잡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불교의 진리의 핵심은 연기설입니다. 이러한 무명에서 비롯되는 애취가 괴로움의 원인이 됩니다. “괴로움은 부처의 깨달음에 근거하여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을 가지지 못함으로 인해 아무런 실체성도 없는 자기를 마치 실체인 양 착각하여, 자신의 감각적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갈구하고, 감각적 욕망의 대상을 나의 것으로 소유하고자 집착함으로써 생겨난다”라는 주장과 ”괴로움은 인연이 화합하여 생겨난 세계에 상주불변하는 고정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망념으로 인해 사람들이 그것을 고정된 실체로 보고 그것을 애욕하고 그것에 집착함으로써 생겨난다”라는 두 문장은 모두 이를 말하는 것으로서, 두 문장의 의미는 동일합니다. 따라서 어떤 문장을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무명과 애착에서 비롯된 갖가지 번뇌'라는 구절은 위 문장을 축약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김지영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근본불교 십이연기설에서 괴로움은 '무명, 즉 부처의 깨달음에 근거하여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을 가지지 못함으로 인해 아무런 실체성도 없는 자기를 마치 실체인 양 착각하여, 자신의 감각적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갈구하고, 감각적 욕망의 대상을 나의 것으로 소유하고자 집착함으로써 생겨남'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삼법인설 일체개고에서 괴로움의 원인이 '괴로움은 인연이 화합하여 생겨난 세계에 상주불변하는 고정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망념으로 인해 사람들이.. ...'라고 하셨습니다. 결국 둘은 같은 말인지 아니면 무엇으로 기억해야 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사성제에서 집성제의 괴로움의 원인도 일체개고와 동일하게 말씀하셨는데요~교재에는 '무명과 애착에서 비롯된 갖가지 번뇌'가 원인으로 나오는데 이것 또한 결국 같은 것인지 아니면 무엇으로 기억해야 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망념'을 '무명'으로 말해도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항상 재미있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